소프트파워는 상대국의 문화나 가치에 스며들어 스스로 움직이게 만든다. 자발적 동조를 끌어내는 소프트파워와 달리 샤프파워는 은밀한 정보 조작이나 경제 보복 등을 통해 상대의 굴복을 끌어낸다. 즉각적이지만 사용에 제약이 따르는 하드파워나 시간이 오래 걸리면서 때론 결과가 성에 안 찰 수 있는 소프트파워의 단점을 파고든 개념인 셈이다. 서방 언론은 전 세계에 진출해 있는 중국의 공자학원을 샤프파워의 수단으로 지목하기도 했다. ‘세계의 공장’이라 불리는 중국이 정치나 외교 갈등을 경제로 보복하는 수법을 자주 쓰면서 ‘샤프파워=차이나 불링’(China Bullying·중국의 괴롭힘)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물론 중국은 지극히 서구적인 잣대와 편견이라며 반발한다.
코로나 3년을 거치면서 중국의 샤프파워가 약해졌다는 전망도 나온다. 경제 봉쇄의 대가를 혹독히 치른 중국으로서는 샤프파워를 구사할 여력이 없다는 것이다. 지난 3월 중국이 호주산 석탄 수입 금지 조치를 2년 만에 풀면서 이런 관측에 더 힘이 실렸다. 그런데 우리나라와 관련된 중국발 소식은 그다지 밝지 않다. 이달 초 인천 송도에서 막을 내린 아시아개발은행(ADB) 총회에 중국은 갑자기 재무장관과 중앙은행 총재를 보내지 않았다. 한중 경제인 행사도 돌연 취소했다. 2030년 국제엑스포를 놓고 우리나라와 사우디아라비아가 치열한 유치 경쟁을 펼치고 있는데 중국이 막후에서 한국 방해공작을 펼치고 있다는 얘기도 들린다.
한미일 공조 강화에 중국은 불편한 기색이 역력하다. 일련의 움직임을 보며 샤프파워의 유혹을 연상하는 것은 기우인가. 중국을 압박하면서도 국가안보보좌관을 보내 중국 외교부장과 8시간 회담을 이어 간 미국의 행보도 곱씹어 보게 된다.
2023-05-17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