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오염수 vs 처리수/황성기 논설위원

[씨줄날줄] 오염수 vs 처리수/황성기 논설위원

황성기 기자
황성기 기자
입력 2023-05-12 00:49
수정 2023-05-12 00:4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이미지 확대
1994년 설립된 ‘카다브라’는 책, 비디오 등을 온라인으로 파는 회사로 출발했다. 창업자 제프 베이조스는 마법과 같은 이름을 붙이고 싶어 ‘아브라카다브라’에서 따온 카다브라로 사명을 정했다. 그러나 반발에 부딪히고 대안을 찾던 중 세계 최장(7000㎞) 아마존강에서 힌트를 얻어 사명을 ‘아마존’으로 바꾸고는 매출 510조원의 공룡으로 키운다. 네이밍(작명)의 중요성을 일깨울 때 인용되는 일화다.

일본 후쿠시마 제1원전의 멜트다운(노심용해)된 원자로에서 나오는 오염수를 정화한 오염처리수를 놓고 혼선이 크다. 일부 언론이 정부가 오염수(Contaminated Water)를 처리수(Treated Water)로 바꿀 것을 검토한다고 보도했지만 정부는 부인했다. 원자력 학계에서는 반대다. 처리수가 일본이 반발을 줄이려고 만든 용어여서다. 그렇다고 오염수도 적절하지 않다.

후쿠시마 원자로에 해수를 주입하는 과정에서 방사성물질을 함유한 오염수가 지하수, 빗물과 섞여 대량으로 발생한다. 이 상태는 오염수가 맞다. 하지만 오염수를 알프스(ALPS·다핵종제거설비)를 통해 정화하면 삼중수소(트리튬)가 남지만 오염수라 부르는 건 팩트가 아니다. 그게 오염수면 월성·고리 등 우리 원전의 배출수도 오염수라 불러야 한다.

백원필 한국원자력학회장은 ‘알프스 처리수’라 부른다. 백 회장은 “알프스에서 처리를 완료한 물이라는 뜻에서 붙인 이름”이라면서 “과학적으로는 너무 뻔한 얘기이지만 처리수란 용어 자체는 일본이 만든 것이라 굳이 그대로 부를 이유가 없다”고 강조했다. 정재학 경희대 원자력공학과 교수는 오염처리수를 둘러싸고 찬성과 반대 모두 이념적 의도를 갖고 용어를 구사한다고 지적한다. 과거 원전에 반대하는 측에선 ‘핵폐기물’이라고 부르고 원전 추진파들은 ‘원전 부산물’이라는 표현을 쓴 이치랑 같다는 것이다. 정 교수는 논란에 휘말리지 않게 중립적인 ‘액체 방사성 폐기물’이란 용어를 써 왔다고 한다. 그도 처리수란 용어에는 반대한다.

원자력안전법 시행규칙에선 오염처리수를 ‘액체 방사성 폐기물’로 쓰고 있다.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용어다. 후쿠시마 문제가 정치화한 국면에서 정부가 용어 변경에 마냥 손사래를 칠 일은 아니다.
2023-05-12 31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남북 2국가론’ 당신의 생각은?
임종석 전 대통령실 비서실장이 최근 ‘남북통일을 유보하고 2개 국가를 수용하자’는 내용의 ‘남북 2국가론’을 제안해 정치권과 학계에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반헌법적 발상이다
논의할 필요가 있다
잘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