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 묻은 돈 벌어 봤자 얼마나 벌겠냐고 했지만 ‘연필 팔고 조립식 장난감 팔아서 건물 올렸다’는 확인되지 않은 얘기가 전국 어지간한 도시마다 심심찮게 돌 정도로 화려했던 시절이었다. 특히 1980년대 경제 호황을 맞아 제법 쩔그럭거렸던 호주머니의 아이들은 문구점에서 경제 관념을 차곡차곡 쌓았다. 문구점 사장님 입장에서는 귀한 손님들이었다. 눈도장 자주 찍은 아이들은 외상도 곧잘 해주며 단골로 관리했다. 가끔씩 탐나는 물건 슬쩍 주머니에 집어넣다가 걸린 아이들은 눈물 콧물 쏙 빠지게 혼나는 일도 비일비재했다. 학교 앞 불량식품 일제 단속 때마다 곤욕을 치르곤 했지만, 엄연히 학교 수업의 보조기관이자 초등학교 아이들의 사랑방 역할을 톡톡히 했다.
더이상 학교 앞에서 아이들이 와글거리는 문구점을 찾을 수 없다. 1년에 평균 500개씩 문구점이 없어진다. 이미 쇠락기에 접어든 지 꽤 됐음에도 아직도 어딘가에는 명맥을 유지하는 곳이 있다는 의미다. 물론 그나마 남은 문구점도 무인주문시스템(키오스크) 기계가 정 없이 사람을 맞이하는 곳으로 대체되고 있다. ‘0.78명’으로 상징되는 극단적 저출산 흐름의 직접적 타격을 입었을 테고, 학교의 수업 준비물 지원, 값싼 생활용품 체인점의 성행 등이 서로 맞물리며 문구점의 쇠퇴 및 소멸로 이어지고 있는 셈이다.
서울의 고등학교가 문을 닫고, 초등학교들이 폐교하는 마당에 문구점인들 버틸 재간이 있을 리 없다. 게다가 대형마트, 프랜차이즈 중심으로 유통 방식이 바뀌는 추세 속에 문구점 등 자영업자의 설 공간은 그만큼 점점 좁아졌다. 안타깝더라도 세상의 흐름이 그러니 어쩔 수 없는 노릇이다. 30대 이상이 된 이들이라면 ‘문방구 소멸 시대’ 속 유소년기 추억의 소멸이 더더욱 씁쓸할 뿐이겠다.
2023-03-07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