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는 진부할 정도로 익숙해졌지만 평양냉면을 둘러싼 논쟁은 다양한 영역으로 확장돼 왔다. 단순히 요리의 기술적 부분에서부터 문화사 고증과 철학 영역으로까지 넘나든다. 면을 가위로 자를 것인지, 육수에 겨자와 식초를 칠 것인지, 달걀 반쪽을 먼저 먹어야 할지, 1만원 중반대 가격이 적정한지 등에다 미식가 갑질 논란까지 소재가 끝이 없을 정도다.
대중적인 음식으로 자리잡기까지 평양냉면을 해석하는 시각도 그동안 셀 수 없이 다양했다. 소설가 김남천(1911~1953)은 수필 ‘냉면’에서 평양 사람들은 ‘속이 클클한 때라든가 화가 치밀어 오를 때 화풀이’로 먹을 정도로 친숙하다고 소개했다. 이름도 그냥 ‘국수’였다. 지역마다 시대마다 먹는 법도 다 달랐다. 실제로 동치미 국물에 말아 먹기도 하고 닭ㆍ꿩ㆍ돼지고기ㆍ소고기 등속의 육수를 부어 먹기도 했다. 북한 옥류관의 냉면도 변하고 있다는 주장도 있다. 원래 순메밀이던 면에 찰기를 살리려고 전분이 더해지고, 심지어 이제는 사리 위에 붉은 양념이 더해지고 있다는 변화상이 화제가 되기도 했다.
북한의 평양냉면이 최근 유네스코 세계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됐다. 북한으로서는 아리랑(2013년), 김치 담그기(2014년), 씨름(2018년·남북 공동)에 이어 네 번째다. 지난 18일 북한 노동신문은 관련 소식을 전하며 “역사적으로 형성되고 일반화되어 사람들 속에서 대를 이어 가며 계승되고 발전하여 온 평양냉면 풍습은 오늘날 우리 당의 손길 아래 세상에 자랑할 만한 민족의 유산이 됐다”고 보도했다. 짧은 소개에 자부심이 넘쳐난다.
냉면에는 민족의 동질감이 서려 있다. 미사일을 쏘고 군사훈련을 하고 서로 으름장을 놓고 있지만 냉면으로는 하나 되는 남북이다. 살얼음 국물에 코끝 쨍해지는 진짜 평양냉면의 계절이 왔다. 부질없는 상상일까. 남북 정상이 판문점 언저리에서 만나 오들오들 함께 떨며 선주후면(先酒後麵)하다 보면 한반도 긴장도 조금은 잦아들지 않을까. ‘냉면 통일’ 만세다.
2022-12-20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