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년이 넘어선 이들의 기억에 남아 있을 ‘양창선’(당시 35세)씨였다. 한국전쟁 과정에서 성이 ‘양씨’로 잘못 기록된 김창선씨는 당시 충남 청양군 구봉광산 지하 125m 지점의 무너진 갱도에서 8월 22일 낮 12시 10분부터 9월 6일 오후 9시 15분까지 15일여, 367시간 동안 음식도 물도 없이 홀로 버틴 끝에 가까스로 구조됐다. 그의 기적적인 생환을 보러 몰려 나온 1000여 명의 시민들은 그가 마침내 땅 위로 모습을 나타내자 “양창선 만세”를 외쳤다.
“내가 죽으면 마누라가 고생할 텐데, 아이들 중학교 가면 공납금도 내야 할 텐데, 하는 생각에 반드시 살아나가겠다는 생각으로 버텼습니다.” 그가 병원에서 기력을 회복한 뒤 가진 인터뷰에 국민들은 다시 한번 자신의 처지를 대입시키며 눈물을 훔쳐야 했다.
2010년 8월 칠레 구리광산에 매몰된 33명의 광부들이 69일 만에 기적처럼 생환된 것은 21세기의 세계사적 사건 중 하나다. 전 세계인의 기도가 모아졌고 할리우드 영화로 만들어질 정도로 화제를 모았다. 이뿐 아니다. 지난해 1월 중국 산둥성 옌타이 금광 지하 580m 아래 매몰됐던 광부 11명도 2주 만에 구출된 바 있다.
경북 봉화군 아연광산 지하 190m에 매몰된 광부 2명의 구조작업이 8일째다. 구조당국의 시추작업이 실패하면서 음식물조차 공급하지 못하고 있으니 광부의 가족들로서는 속이 시커멓게 탈 노릇이다. 광부 출신 시인 성희직은 생사를 오가는 탄부의 삶을 이렇게 노래했다. ‘(…)매년 탄광 사고로 목숨을 잃어/ 숫자로만 세상에 남겨진 광부의 또 다른 이름이다/(…)/ 광부의 하늘은 그렇게 시도 때도 없이 무너져도’ (‘광부의 하늘이 무너졌다1’ 중)
봉화 광부들 역시 김창선씨처럼, 칠레, 중국의 광부들처럼 무너진 갱도를 빠져나와 파란 하늘을 올려다볼 수 있기를 간절히 빈다. 탄광 안에서는 삶의 의지를 불태우고, 밖에서는 더욱 적극적 구조 노력을 기울여야 할 일이다.
2022-11-03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