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자산 수명/안미현 수석논설위원

[씨줄날줄] 자산 수명/안미현 수석논설위원

안미현 기자
입력 2022-10-23 20:00
수정 2022-10-24 00:5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몇 년 전부터 일본에서는 ‘자산 수명’이라는 말이 인기를 끌고 있다. 사람의 수명처럼 말 그대로 자산의 수명이다. 이를 늘리는 방법은 두 가지다. 새로 벌어 계속 곳간을 채워 넣든가, 아니면 있는 자산을 불리는 것이다. 이상적인 방법은 전자(前者)이지만 은퇴하거나 일자리를 잃으면 쉬운 일이 아니다.

그렇다면 많든 적든 있는 자산이라도 불려야 한다. 요즘 가장 ‘핫한’ 상품은 파킹(parking)통장이다. 주차장의 차처럼 언제든지 돈을 넣고 뺄 수 있는 수시입출금통장인데도 하루만 맡겨도 예금처럼 연 2~3%대 이자를 준다. 언제 쓸지 몰라 비상금 용도로 통장에 수십만원 혹은 수백만원을 넣어 두고 있다면 파킹통장으로 옮겨 놓는 게 이자 면에서 훨씬 유리하다. 인터넷은행들이 선점했는데 인기를 끌면서 저축은행이나 시중은행들도 비슷한 상품을 앞다퉈 내놓고 있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계속 올리면서 시중금리도 따라 오르는 추세다. 다음달에도 한은의 금리 조정이 예정돼 있다. 이럴 때는 예적금 만기를 최대한 짧게 가져갔다가 다른 고금리 상품으로 옮겨 타는 ‘풍차 돌리기’가 기본이다. ‘뱅보드(뱅크+빌보드) 차트’에 들어가 수시로 바뀌는 예금금리 순위를 확인하는 노력도 필요하다. 월급처럼 한 달에 한 번씩 따박따박 이자를 주는 채권상품도 있다.

지출을 줄이는 것도 자산 수명을 늘리는 방법 중의 하나다. 한 트렌드 분석가는 내년 유행할 트렌드로 ‘과시적 비소비’를 꼽았다. 쓰는 것을 뽐내는 ‘플렉스’ 대신 쓰지 않는 것을 과시하는 시대가 도래한다는 것이다. 젊은층에서 유행하는 ‘무(無)지출 챌린지’의 연장선상이다. 디지털이 친숙한 중장년층이라면 앱에서 이뤄지는 온갖 이벤트에 참가해 몇백원씩 챙기는 ‘디지털 폐지 줍기’에도 도전해 볼 만하다.

베이비붐세대(1955~1963년생)의 은퇴가 본격화하면서 우리나라에서도 자산 수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유병(有病) 장수’ 못지않게 무서운 게 ‘무전(無錢) 장수’라는 농담 앞에 은퇴 세대는 마냥 웃기 어렵다. 인터넷이 익숙지 않다고, 귀찮다고, 그렇게 모은 푼돈이 얼마나 되겠느냐고 밀쳐 둘 일이 아니다. 건강 수명과 더불어 자산 수명도 챙겨야 하는 시대다.

2022-10-24 27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남북 2국가론’ 당신의 생각은?
임종석 전 대통령실 비서실장이 최근 ‘남북통일을 유보하고 2개 국가를 수용하자’는 내용의 ‘남북 2국가론’을 제안해 정치권과 학계에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반헌법적 발상이다
논의할 필요가 있다
잘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