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고르비가 역사의 영욕을 뒤로하고 30일(현지시간) 91세를 일기로 타계했다. 서방세계에선 냉전을 종식시킨 인물로 높은 평가를 받지만, 정작 러시아 내에선 ‘초강대국 소련을 멸망시킨 매국노’라는 부정적 평가도 있다. 북한은 아직도 ‘사회주의 배신자’로 비난할 정도로 그를 증오한다. 소련·동구권 몰락을 지켜봤던 워싱턴포스트의 마이클 돕스 기자는 ‘1991년’이란 저서에서 “고르비는 공산주의를 해체한 공산주의자이고 개혁에 추월당한 개혁자였다. 세계에서 가장 큰 다민족 제국의 해체를 주도한 마지막 황제”라는 평을 남겼다.
역대 공산당 서기장 가운데 가장 지적인 지도자로 평가받았던 그는 1985년 집권 초부터 다당제와 시장경제 도입, 사상 분야에서의 자유화 등 대담한 개혁을 이끌었다. 비슷한 시기 개혁개방에 나섰던 중국 덩샤오핑의 신중하고 노련한 행보와 달리 경험이 일천한 고르바초프의 성급한 개혁은 관료사회와 기득권 세력의 격렬한 반발을 초래했다. 개혁개방에 반대하는 보수파들의 1991년 8월 쿠데타가 ‘3일 천하’로 막을 내렸지만 그 역시 급진파에 의해 권좌에서 밀려났다.
당시 소련 체제 붕괴를 시간문제로 보는 시각이 많다. 소비에트 공산주의 체제의 무능과 부패, 타락은 고치기 어려운 고질병이 된 지 오래였고 비효율적 계획경제 시스템 역시 붕괴 직전의 상태였다. 어찌 보면 고르비는 존재 자체가 어려운 공산주의 체제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으려다 본의 아니게 몰락을 주재한 비운의 인물이다. 결과적으로 반세기 동안 세계를 괴롭혀 온 ‘냉전 해체’의 위업을 달성했으니 역사의 아이러니라 하겠다.
2022-09-01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