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지방소멸 대응기금/박현갑 논설위원

[씨줄날줄] 지방소멸 대응기금/박현갑 논설위원

박현갑 기자
박현갑 기자
입력 2022-08-16 20:30
수정 2022-08-17 01:0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영국 옥스퍼드 인구문제연구소는 2006년부터 우리나라를 지구상에서 가장 먼저 사라질 나라로 꼽고 있다. 인구 소멸로 한국이 사라지는 시점을 2750년으로 전망했다. 낮은 출산율과 급속한 고령화에 대한 경고였다.

지방의 인구 감소 현상은 눈으로 확인이 가능하다. 시골에서 사람 보기란 하늘의 별 보기만큼 어렵다. 농사짓는 사람은 60대 이상이 대부분이고, 아이들 웃음소리가 끊긴 지도 오래다. 그나마 있던 젊은이들도 도시로 나가면서 초등학교 분교는 문을 닫았고, 빈집은 늘어만 가고 있다. 산부인과 찾기도 힘들다.

정부도 대책 마련에 많은 재원을 쏟아붓고 있다. 2005년 저출산·고령사회기본법 제정 이후 지금까지 출산율 제고에 225조원을 쏟아부었다. 하지만 정책 효과는 없다. 지난해는 정부 수립 이래 72년 만에 총인구가 감소한 해였다. 합계출산율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가장 낮은 0.81명이었다. 유엔이 현재의 인구를 유지하는 데 필요하다고 본 출산율(2.1명)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올해 출산율은 더 떨어질 것으로 보여 ‘인구절벽’을 넘어 ‘인구재앙’으로 치닫고 있다.

어제 정부가 또 다른 인구 감소 극복 방안을 내놨다. 지방소멸 대응기금 지원이다. 올해부터 10년간 해마다 1조원(올해는 7500억원)을 전국의 기초지자체 107곳(인구 감소지역 89곳과 관심지역 18곳)과 인구가 줄지 않는 서울, 세종을 제외한 광역지자체 15곳에 배분한다. 107곳은 정부가 인구감소지수로 선정했다. 광역지자체는 이런 지자체 관할 지자체다. 지원 규모는 기초지자체의 경우 올해는 내년분까지 합쳐 2년치를 지역별로 최소 28억원에서 최대 210억원씩 준다. 이후에는 매년 심사를 거쳐 지원 규모를 정하게 된다.

10년간 약 10조원을 소멸 대응기금으로 쏟아붓는다고 해서 인구 감소 문제가 해결되지는 않을 게다. 당장 이번에 정부가 발표한 수도권 주택공급 대책만 하더라도 수요가 밀집된 도심의 규제 완화를 골자로 한 것이어서 지방의 인구 소멸 대응 효과를 떨어뜨린다. 각 단체장이 지역 여건에 맞는 지역 활성화 방안으로 ‘지방의 가치’를 확산시키길 기대해 본다.

2022-08-17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