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인민영수/박홍환 논설위원

[씨줄날줄] 인민영수/박홍환 논설위원

박홍환 기자
입력 2022-07-13 22:22
수정 2022-07-14 01:3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불과 몇십 년 전만 해도 세상의 어머니들은 가족들의 닳아 해진 옷을 깁느라 늦은 밤까지 잠 못 이루는 날이 많았다. 그 당시에는 왜 그렇게 특히 깃과 소매가 잘 해졌는지, 오랫동안 입힐 요량으로 아예 새 옷의 깃과 소매에 옷감을 덧대 보강한 뒤 자녀들에게 입히는 일까지 있었다.

그래서일까. 옛날부터 고관대작의 옷깃과 소매는 아예 두텁게 만들거나 심지어 금을 덧대기도 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깃과 소매를 뜻하는 영수(領袖)라는 한자어가 최고지도자의 별칭이 된 이유는 그래서다. 영수가 지도자를 뜻하는 단어로 처음 등장하는 문헌은 중국 당나라 시기 편찬된 ‘진서’다. 서진의 창시자인 문제는 조정회의 때마다 일찍 세상을 떠난 충신 위서를 거론하며 “위서는 당당했고, 사람들 가운데 영수였다”고 말하곤 했다는 구절이 진서에 나온다.

국내 정치에서도 영수라는 표현은 낯설지 않다. 대통령과 야당 대표 간 회담을 영수회담이라고 칭했고, 주요 정치지도자들 간 회담답게 영수회담은 대부분 중요한 정치적 변곡점이 되곤 했다. 국내 정치사에서 대통령과 제1야당 대표 간 영수회담은 지금까지 20여 차례 열렸다.

영수라는 표현을 처음 사용한 중국에서는 마오쩌둥이 세상을 떠난 이후 사실상 폐기된 호칭이다. 너무도 극존칭이어서 그 이후 누구도 감히 사용할 엄두를 못 냈을 것이다. 실제 근현대 중국에서 영수 칭호를 받은 인물은 쑨원과 마오쩌둥 2인뿐이다. 쑨원에게는 ‘혁명의 선구적 영수’, 마오쩌둥에게는 ‘위대한 영수’라는 수식어가 붙여졌다. 현대 중국에서 영수는 인민을 위한 일념으로 평생을 헌신한 사람에게 주어지는 명예로운 호칭으로, 개혁개방의 총설계사로 오늘의 중국을 만들어 낸 덩샤오핑마저도 스스로 그 호칭을 받을 수 없다며 손사래를 쳤을 정도로 부담스러운 호칭이기도 하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에게 ‘인민영수’ 칭호가 부여될 것이라는 보도가 나오고 있다. 시 주석이 사실상 ‘살아 있는 영수’로서 퇴임 후에도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게 된다는 의미다. 중국 인민들이 과연 그 호칭에 고개를 끄덕일지는 알 수 없으나 중국이 시주석 1인 체제를 공고화하고 있는 것만은 분명해 보인다.

2022-07-14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