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이라는 개념이 도입되어 문화유산의 범위가 넓어지는 것은 바람직스럽다. 문화재청의 손길이 미치고 있는 문화유산은 국보, 보물, 사적, 명승, 국가무형문화재, 국가등록문화재, 시도문화재, 문화재자료 등이 있다. 여기에 해양수산부의 국가중요어업유산과 농림축산식품부의 국가중요농업유산도 국가유산으로 자연스럽게 인식될 수 있는 좋은 기회다.
국가중요어업유산은 오랜 시간에 걸쳐 이루어진 어업자산을 보전하고자 해양수산부가 시행하는 제도다. 제주 해녀어업을 1호로 보성 뺄배어업, 남해 죽방렴, 신안 갯벌 천일염업, 무안·신안 갯벌낙지 맨손어업, 하동·광양 재첩잡이 손틀어업, 신안 흑산도 홍어잡이 등이 지정됐다.
국가중요농업유산은 같은 취지로 농업자산을 대상으로 지정한다. 국가중요농업유산과 국가중요어업유산은 유엔식량농업기구(FAO)가 2000년 시작한 세계중요농업유산(GIAHS) 제도와 궤를 같이한다. 문화재청에 국가유산 지정 제도가 있고 유네스코에 세계유산 등재 제도가 있는 것과 비교할 수 있을 것이다.
세계중요농업유산은 ‘농업유산’이라는 표현이 들어 있지만 FAO가 만든 제도답게 ‘먹거리 확보’에 초점을 맞춰 농업유산은 물론 어업유산도 일부 포함된다. 세계중요농업유산에 우리 것은 청산도 구들장논, 제주 밭담, 하동 전통차농업, 금산 인삼농업, 담양 대나무밭이 등재됐다.
국가유산의 범위 확대에 따라 눈길을 끄는 것이 남해 죽방렴이다. ‘남해 지족해협 죽방렴’은 국가지정문화재인 명승이기도 하다. 그런데 해양수산부는 죽방렴어업을 빠르면 올해 안에 세계중요농업유산으로도 등재를 신청한다는 계획이다. 현지 실사와 서류심사를 거치는데 등재에 큰 문제는 없을 것이라 자신한다. 죽방렴의 국가지정문화재, 국가중요어업유산, 세계중요농업유산이라는 ‘문화유산 3관왕’ 등극이 멀지 않다. 나아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이 되지 말라는 법도 없다.
2022-06-15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