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금강송/이동구 논설위원

[씨줄날줄] 금강송/이동구 논설위원

이동구 기자
입력 2022-03-07 20:30
수정 2022-03-08 03: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가족에겐 못할 말이 있어도/소나무 친구에겐/못할 말이 없다. 옛사람들이 살던 집은/소나무와 흙으로만 지었는데/그 두 가지가/사는 이의 성품을 닮았기 때문이다’ 황금찬 시인은 “소나무가 아버지의 성품을 닮았다”고 했다. 퇴계 이황은 “돌 위에 자란 천년 묵은 불로송/검푸른 비늘같이 쭈글쭈글한 껍질/마치 날아 뛰는 용의 기세로다”라며 변치 않는 절개와 강인함이 선비의 삶에 녹아 있는 듯 소나무를 좋아했다.

소나무는 우리나라가 원산지로 국토 전역에 분포해 있고, 우리 민족이 가장 사랑하는 나무다. 애국가에도 나올 뿐만 아니라 아기가 태어나면 대문에 걸었던 금줄에도 소나무 가지가 사용됐다. 시인 묵객들은 매화, 대나무와 함께 ‘세한삼우’라 부르며 소나무를 사랑한다. 줄기가 붉어서 적송(赤松)이라 부르기도 하고, 육송ㆍ해송ㆍ여송(女松) 등 자라는 장소나 모양새에 따라 다양하게 불린다.

금강산을 비롯해 태백산맥 일대에서 자라는 소나무를 ‘금강송’(金剛松)이라 부른다. 유난히 붉은 빛을 머금은 채 곧고 높이 자라는 게 특징이다. 늘씬하게 키가 크다고 해서 미인송(美人松)으로 불리기도 했다. 울진, 봉화 등지에서 자란 금강송이 춘양역을 통해 운반됐다고 해서 춘양목(春陽木), 궁궐에서 사용됐다고 황장목(黃腸木)이라고도 불린다.

경북 울진군에는 3700여㏊ 규모의 산림유전자원 보호구역 내에 1500여㏊ 규모의 금강송 군락지가 있다. 수령 100~200년가량의 금강송 8만여 그루를 비롯해 1000만여 그루의 소나무가 자라고 있다. 이곳 금강송은 2001년 경복궁 태원전 복원 사업과 2008년 숭례문 화재 복원에도 사용됐다. 2015년부터 지역의 행정 명칭도 ‘금강송면’으로 바뀌었다. 군락지 입구에는 조선 숙종 시대 새긴 입산금지 표지석이 남아 있어 이곳이 얼마나 중요하게 관리돼 왔는지 짐작하게 한다.

울진과 삼척 등에서 발생한 산불이 나흘째 이어지며 금강송 군락지를 위협하고 있다니 안타깝기 그지없다. 현지 주민들의 고통도 나눠야 할 뿐 아니라 수백년 우리 민족과 함께 호흡해 온 금강송을 비롯한 산림의 훼손도 최대한 막아야 한다. 산불이 빨리 진화되길 학수고대한다.

2022-03-08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