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몇 은행들이 더 파산하면서 외환결제 위험이 커지자 선진국 중앙은행과 주요 상업은행, 국제결제은행(BIS)이 유사 사례를 막을 시스템을 만들었다. 전 세계 금융기관이 표준화된 메시지를 주고받는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와 특정 시간에 사고판 통화를 동시에 주고받는 외환동시결제시스템(CLS)이다.
SWIFT는 200여개국 1만 1000개 금융기관과 기업이 가입해 하루 4200만건의 외환 거래를 처리한다. 특정 국가의 금융기관을 SWIFT에서 퇴출하면 돈이 자유롭게 넘나들 수 없어 큰 타격을 입는다. 미국이 북한과 이란에 쓴 강력한 경제제재 중 하나가 SWIFT 퇴출이다. SWIFT에서 퇴출된 이란은 중앙은행 명의로 우리은행과 IBK기업은행에 원화 계좌를 열었다. 우리 기업들이 원유 수입 대금과 수출 대금을 이 계좌에 넣고 찾는 방식이다.
우크라이나 침공이 본격화하자 서방은 러시아의 SWIFT 퇴출을 결정했고 한국도 제재에 참여한다. SWIFT 퇴출은 거래 특성상 상대방도 어느 정도 피해를 본다. 한 해 40만대 이상 자동차를 수출하는 우리도 예외가 아니다. 그래서 우크라이나 침공 초기 바로 시행되지 못했다.
SWIFT와 CLS는 달러 중심의 국제결제망이다. 중국은 여기서 벗어나기 위해 2015년부터 위안화국제결제시스템(CIPS)을 운영하고 있지만 결제 비중은 미미하다. 러시아 중앙은행은 어제 9.5%인 기준금리를 20%로 대폭 올렸다. 외환보유고도 늘려 SWIFT 제재에 대비하는 모습이지만 막상 당하니 걱정이 앞서는 모양이다. SWIFT 제재는 루블화 가치 하락, 수입 물가 상승 등 러시아 경제에 치명적인데,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얼마나 버틸지 궁금하다.
2022-03-01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