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의성 사투리/임병선 논설위원

[씨줄날줄] 의성 사투리/임병선 논설위원

임병선 기자
입력 2022-02-15 20:20
수정 2022-02-16 03:1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4년마다 ‘컬링 앓이’를 한다. 하계와 동계 종목을 통틀어 이처럼 인연을 중요시하는 종목이 또 있을까 싶다. 중세 스코틀랜드에서 시작한 얼음 위의 마을 놀이가 올림픽 종목이 됐다.

혈연끼리, 특정 학교와 지역 출신끼리 즐기는 성격이 도드라진다. 4년 전 평창 대회 이후 우여곡절이 많았던 베이징동계올림픽 컬링 여자 대표팀 ‘팀 킴’은 막내 김초희(26)만 빼고 경북 의성여고 동문들이다. 의정부 출신 김초희에게는 의성 사투리에 익숙해지는 게 힘겨웠다고 한다. 언니들은 막내에게 의성 사투리를 알려 주려고 사투리 퀴즈를 내곤 했단다.

그제 팀 킴의 대회 여섯 번째 한일전 중계를 지켜보니 가관이었다. 경기 중에 치열하게 우리 선수나 일본 선수들이 주고받는 소리가 고성능 마이크를 통해 중계되니 정신이 하나도 없었다. 의성은 말끝마다 이웃한 영주나 안동처럼 ‘했니껴’를 붙인다. 언뜻 우리 선수끼리 시비 거는 것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돌아보면 컬링만큼 선수끼리 가감 없이 속내를 털어놓는 열린 경기도 없다. 일거수일투족을 공유하며 작전을 숙의하고 어느 방법이 상대를 제압할 가장 효율적인 방법인지 의논할 수 있다. 심판이나 코칭 스태프가 끼어들 여지도 적다.

산과 강을 돌고 돌며 표준화 해법을 여전히 거부하고 있는 것이 의성과 안동 사투리이며 그 일을 가능케 한 것이 유유한 낙동강 굽이인 것 같다. 전라도만 해도 북도와 남도가 다르고 순천과 여수, 목포와 해남이 또 다른 것처럼 말이다.

사투리가 표준어보다 짧게 느껴지는 이유는 이중모음이 적고 ‘ㅓ’와 ‘ㅡ’ 구분이 없어 발음이 편하고, 강세가 있어서 말이 빨라도 명확히 전달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표준어 ‘가서 보고 와서 말하십시오’가 경북 동남 사투리로는 ‘가가 보고 와가 말하이소’가 된다.

오죽했으면 대한민국 모든 사람과 소통하려면 통역이 필요하다고 할까. SBS 이슬비 해설위원도 팀 킴의 선배다. 캐스터가 “‘워~’는 무슨 뜻인가요”라고 묻자 이 위원은 “스위핑(솔로 빙판 닦기)하지 말라는 것”이라고 답했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사투리를 표준화하는 게 절박하게 느껴졌는데 뭐 그럴 일인가 싶기도 하다.
2022-02-16 31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남북 2국가론’ 당신의 생각은?
임종석 전 대통령실 비서실장이 최근 ‘남북통일을 유보하고 2개 국가를 수용하자’는 내용의 ‘남북 2국가론’을 제안해 정치권과 학계에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반헌법적 발상이다
논의할 필요가 있다
잘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