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주도의 인위적 구조조정은 1년도 채 안 돼 삐걱거렸다. LG 반도체를 인수하느라 1조원 넘게 돈을 쓴 현대전자는 LG 반도체의 막대한 부채까지 떠안으면서 흔들리기 시작했다. 설상가상으로 주력 제품인 D램 가격마저 급락하면서 죽느냐 사느냐의 기로에 내몰렸다. 자체 힘으로는 살릴 수 없다고 판단한 현대그룹은 급기야 현대전자를 매물로 내놓았고, 2001년 하이닉스로 간판을 바꿔 달았다.
이때부터 해외 매각이냐 독자 생존이냐의 길고 지루한 싸움이 시작됐다. 채권단이 회사채를 사주는 방식으로 근근이 버티는 처지였기 때문이다. 밑 빠진 독에 계속 물을 부을 수 없다는 매각파는 어차피 국내에는 인수 여력이 없으니 해외에라도 팔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도체는 국가 기간산업인데 이렇게 국부(國富)를 유출할 수 없다는 생존파는 조금만 더 세금을 투입해 살려야 한다고 맞섰다. 양쪽 다 일리 있는 주장이었다.
10년 도돌이표 공방에 종지부를 찍은 것은 2011년 말이다. SK그룹이 3조여원을 들여 하이닉스를 인수하겠다고 나선 것이다. SK텔레콤 주가가 급락하는 등 그룹 안팎의 우려가 컸지만 최태원 회장은 밀어붙였고 이듬해 2월 14일 하이닉스는 SK 계열사로 공식 편입됐다.
어제로 하이닉스가 주인을 찾은 지 꼭 10년을 맞았다. 오랜 세월 쌓인 부실을 털어 내고 2015년 다시 법인세(8000억원)를 내기 시작했다. 2018년에는 한 해에만 세금 5조 6000억원을 납부했다. 이후 지난해 말까지 나라에 낸 세금이 11조원이다. 잘나가는 하이닉스에 빗대 다른 SK 계열사가 스스로를 ‘로(low)닉스’로 지칭하는 신조어까지 생겨났을 정도다. 빅딜 이후 한동안 채권단 지원에 의존해 ‘세금 먹는 하마’ 눈총에 시달렸던 과거를 떠올리면 격세지감이 아닐 수 없다.
2022-02-15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