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가에서는 동장군이 기승을 부리는 혹한기에는 바깥 출입을 삼간다. 이런 동안거 시기(10월 16일~이듬해 1월 15일)가 막 끝난 즈음에 야단법석을 마련한 데는 불교계가 얼마나 절실하고 급박한지를 짐작할 수 있다.
주최 측은 “현 정부의 종교 편향과 차별을 저지하고 한국 불교의 자주권을 수호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서 종교 편향이 심해지고 있고, 불교를 왜곡하는 행위를 더이상 지켜볼 수만 없다고 했다. 문재인 대통령의 거듭된 친가톨릭 행보와 문화체육관광부의 크리스마스 캐럴 보급 캠페인 등에 대한 불만의 목소리가 담긴 것이다.
불교계는 지난해 12월 ‘종교편향 불교왜곡 범대책위원회’를 열고 “더이상 불교가 무시당하면 안 된다”며 강력 대응하기로 뜻을 모았다.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사찰의 문화재관람료를 통행세로 지칭하고 사찰을 ‘봉이 김선달’에 비유한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발언이 도화선이 됐다. 민주당 의원들은 집단 참회와 사과를 거듭했지만 분노한 불심을 달래기에는 역부족이었던 셈이다.
사찰의 문화재관람료를 둘러싼 불만은 2007년 국립공원 입장료 제도가 폐지된 이후 심심찮게 불거져 왔다. 북한산 국립공원이나 천은사 쪽의 지리산 등산로 등에서는 입장료를 받지 않지만 설악산 등 상당수 국립공원에서는 여전히 ‘관람료’를 받는다. 사찰 소유의 등산로를 이용하는 데다 문화재와 환경 관리·보호에 필요한 재원이라는 이유에서다. 등산객들은 ‘산이 좋아서 왔다’는 생각에 절에 들르지도 않지만 불만을 삭여 왔다. 관련된 기관들이 알면서도 방치해 온 사이 불만은 곪고 있었던 것이나 다름없다. 승려대회가 불교계의 분노뿐 아니라 입장료를 둘러싼 등산객의 불편한 심기도 치유하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 사부대중을 보듬는 불교계와 정부, 지자체가 머리를 맞댄다면 결코 해결하지 못할 일이 아니다.
2022-01-21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