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선 1988년에는 문동환, 박영숙, 임채정, 이해찬 등 기라성 같은 민주화 인사들이 김대중과 뜻을 같이했다. 이러한 흐름은 이후 이인영, 임종석, 우상호 등 ‘386세대’까지 이어졌다.
신한국당(현 국민의힘) 또한 마찬가지였다. 정권 출범 3년이 지난 1996년 김영삼 전 대통령은 15대 총선을 앞두고 민중당 출신 이재오, 김문수, 차명진, 이우재 등을 전격 입당시켰다. 또 검사 홍준표 등의 신한국당 입당 시기도 이때다. 당시 총선 필패가 점쳐졌던 신한국당이었지만 외연 확장에 힘입어 139석을 얻고 제1당을 유지했다. 이후에도 이들은 각자도생했지만 각기 이명박 정권 탄생에 핵심적 역할을 하거나 경기도지사로 진출하는 등 보수정당 안에서 정치적 입지를 넓혀 나갔다.
당 바깥에서 외부 인사를 영입하는 일은 한국 정당사에서 그리 드문 일은 아니었다. 특히 한국 정당들이 박정희·김영삼·김대중 전 대통령과 같은 1인 중심의 강력한 리더십을 구축해 왔기에 그 나물에 그 밥 같은 인재와 진영 내부의 돌고 도는 인사의 한계를 극복하는 의미로서 외부 인사 영입은 권력에 활력소 역할을 했다.
하지만 이는 고질적인 ‘인물 중심 정당’의 폐해로 이어지곤 했다. 정당의 강령과 가치, 비전이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기존 인사들과 영입 인사들의 권력다툼이 끊이지 않았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선대위, 윤석열 국민의힘 선대위의 인재 영입 해프닝은 느닷없는 일이 아니다. ‘여성 인권을 4분의3만 인정하자’거나 ‘왕정도 상관없다’는 시대착오적인 이를 공동선대위원장에 임명하는 국민의힘이나, 개인의 기초적인 도덕성 검증도 하지 않은 채 공동선대위원장에 임명했다가 논란이 되니 무책임하게 내친 민주당 또한 ‘떴다방’식 인재 영입이라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시간이 걸려도 당의 강령에 맞는 인재를 길러야 한다. 지방의원부터 시작해 대통령이 된 미국의 오바마 전 대통령 같은, 지극히 당연한 사례가 부러움을 사서는 곤란하다. 풀뿌리 민주주의가 시작된 지 30년이 됐으니 우리 또한 불가능한 일이 아닐 테다. 다만 대통령 후보까지 외부에서 영입하는 세상이니 더 말한들 무엇할까.
2021-12-07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