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 거북바위에는 퇴계 이황(1501~1570)의 ‘수승대’(搜勝臺)와 갈천 임훈의 ‘수송대’(愁送臺)라는 제목의 한시가 나란히 있다. 안의현감 한복연이 1810년 새긴 것으로, ‘퇴계명명지대’(退溪命名之臺)와 ‘갈천장구지대’(葛川杖廐之臺)라 했으니 각각 ‘퇴계 선생이 이름을 지은 너럭바위’와 ‘갈천 선생이 거닐던 너럭바위’라는 뜻이겠다. 구연서당을 열던 요수 신권(1501~1573)은 영승마을에 머물던 퇴계가 방문하겠다는 기별을 보내와 기다리고 있었는데, 사람은 소식이 없고 시 한 편만 당도했다. 첫째 부인과 사별한 퇴계는 안동 권씨와 재혼했는데, 1543년 장인 권질의 회갑을 맞아 영승마을에 머물렀다. 권질은 유배에서 풀린 뒤 영승에 살던 처남 전철에게 의탁하고 있었다.
퇴계의 시는 ‘수승(搜勝)으로 이름을 새로 바꾸니/봄을 맞은 경치 더욱 좋으리/먼 숲 꽃망울은 터지려 하고/그늘진 골짜기는 눈에 묻혔네’로 시작한다. 퇴계가 이곳을 찾은 것은 음력 1월이었다. 약속을 지키지 못한 것을 미안해하면서 다가올 수승대의 봄을 축원하는 의미를 담았다. 갈천은 ‘봄은 장차 저물고 그대도 장차 떠나니/그대 보내는(送) 시름(愁)에 봄의 아쉬움을 비길까’라고 시를 마쳤다. 퇴계가 원학동의 손님이라면 지역 토박이 갈천은 주인의 심정으로 수송대라는 이름에 강한 애착을 표현했다.
영승이라는 마을 이름도 퇴계가 새로 지었다는 사실은 흥미롭다. 영승(迎勝)은 과거 영송(迎送)이었다. 영승은 5세기 거창 일대를 통일한 거열국의 땅이다. 신라에 복속되면서 백제를 오가는 사신을 맞이하고 보냈다. ‘그러니 근심을 보낸다’는 ‘수송대’도 ‘영송’과 다르지 않은 맥락이다. 퇴계가 ‘훌륭하다’거나 ‘뛰어나다’는 뜻을 가진 승(勝) 자를 새 이름에 공통적으로 쓴 것은 이 지역의 밝은 앞날을 기원하는 의미가 아닐까 싶다. 고향 마을을 흐르는 토계(兎溪)도 퇴계(退溪)로 고쳐 아호로 삼았을 만큼 땅 이름이 가진 상징성을 중요히 여긴 인물이다.
문화재청이 지난주 ‘수승대’의 명칭을 역사성을 살려 ‘수송대’로 바꾸기로 했다고 했는데, 곧바로 거창군이 반대하고 나섰다. 혼란과 파장이 야기되는 사안임에도 협의도 없는 변경 예고는 납득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역사를 더듬어 보면 문화재청 논리도 근거가 있고, 거창군 주장도 이해 못할 바 아니다.
2021-09-08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