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장례의식의 마지막 절차는 무덤 앞에 비석을 세우고 묘지를 묻는 일이다. 무덤 앞의 비석인 신도비는 아는 사람이 많다. 묘표와 묘갈은 신도비보다 간소하다. ‘대동야승’에서 ‘지석(誌石)은 무덤 앞에 묻는 것인데, 세월이 오래되어 비석이 없어지면 누구의 무덤인지를 알리고자 한다’고 적었다.
우리 묘지의 역사는 4세기 중엽 고구려 안악3호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불교식 화장이 주류를 이루었던 통일신라 것은 찾기 어렵다. 고려는 불교국가라도 화장 이후 매장 풍습이 적지 않았다고 한다. 석판에 글을 새긴 지석이 많이 남아 있다. 조선시대는 매장이 일반화됐고, 도자기 산업이 활발해지면서 도자 묘지가 유행했다.
윤지충과 권상연의 무덤이 확인된 곳은 전북 완주군 이서면 초남이성지(聖地)의 바우배기다. 신유박해로 순교한 유항검(1756~1801)의 고향이다. 그는 윤지충의 이종사촌으로 조선 천주교의 독자적인 교계 제도인 이른바 가성직자단(假聖職者團)의 신부로 지명되기도 했다. 능지처참된 유항검의 집터는 큰 죄를 지은 사람의 집을 헐어 없애고, 못을 만드는 파가저택(破家?宅) 됐다. 윤지충과 권상연의 진산 집도 같은 처분을 받아 아직 그 터를 찾지 못하고 있다. 당시 전라도 진산 땅은 오늘날 충남 금산군에 속한다.
바우배기는 유항검 가족의 무덤이 1914년 전주 치명자산성지로 옮겨지기 전까지 있었던 곳이다. 무연고 분묘로 남아 있던 주변 10기의 무덤을 지난해부터 발굴한 결과 윤지충과 권상연은 물론 윤지충의 아우인 또 한 사람의 순교자 윤지헌(1764~1801)의 무덤이라는 사실을 밝혀낸 것이다. 유항검이 감당하기 어려웠을 당대 대역죄인 윤지충과 권상연의 시신을 거두어 자기 집안 선산에 모셨음을 짐작하게 한다.
두 사람의 묘지에는 망자(亡者)에 대한 최소한의 정보가 담담하게 적혀 있다. 묘지에 천주교 관련 글귀가 보이지 않는 것은 두 사람을 장사 지내는 데 주위의 많은 눈이 쏠려 있었음을 반증한다. 이 발굴로 바우배기는 단숨에 한국 천주교 역사를 대표하는 성지로 떠올랐다. 지방 가마에서 구웠을 소박한 그릇에 적힌 글자 몇 개의 힘이 놀랍다.
2021-09-03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