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무분별한 자연 훼손으로 서식지를 떠나야 하는 박쥐 등 동물이 인간과의 접촉이 많아지면서 바이러스 감염이 되고 변이가 발생한다. 철새에 있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인간에게로 전이되면서 독감이 생겼고, 1980년대에는 아프리카 원숭이에게 있던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로 인해 HIV가 생긴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2003년 사망자를 발생시킨 사스는 박쥐의 바이러스가 변종을 일으키면서 사향고양이로 옮겨진 뒤 사람에게 전파된 사례다. 메르스는 박쥐에서 살던 바이러스가 낙타를 거쳐 인간에게 옮겨진 것으로 보인다. 신종플루는 돼지로부터 시작했다.
인류의 재앙이 된 코로나19도 마찬가지다. 2019년 말 중국 우한에서 처음 발견된 이후 무수한 감마, 델타 변이 바이러스를 만들어 내면서 인류를 괴롭히고 있다. 유럽과 미국 등에서 우세종이 된 델타 변이 바이러스에 이어 남미 대륙을 중심으로 ‘람다’ 변이의 확산세도 심상치 않다. 람다 변이는 지난해 페루에서 처음 발견된 이후 남미를 포함해 전 세계 30여개국으로 확산 중이다.
최근 공개된 세계보건기구(WHO) 보고서에 따르면 칠레, 에콰도르, 아르헨티나 등에서 대유행하고 있다. 올해 4월부터 페루 전체 코로나19 확진자의 80%에 달한다. 주변국 아르헨티나에서는 지난 2월부터 람다 변이가 지배종으로 자리잡기 시작했는데, 4~5월에는 37%의 감염률을 기록했다고 한다. 칠레 역시 인구 58.1%가 백신 접종을 마쳤고 장기간 봉쇄를 지속했지만, 전체 확진자 중 3분의1이 람다 변이 감염자로 조사될 정도다.
상황이 엄중해지자 지난달 14일 WHO는 람다 변이를 ‘관심 변이’로 지정했다. WHO가 람다 변이를 주시하는 이유는 무서울 정도의 전파력과 치명률 때문이다. 페루의 치명률이 9.3%에 달하지만 아직까지 구체적인 데이터와 연구 결과를 도출하지 못한 상황이다. 람다 변이 외에 관심 변이로 등록된 변이는 에타, 로타, 카파 등 3종이 더 있다. 우려 변이에 포함된 것은 알파(영국발), 베타(남아공발), 델타(인도발), 감마(브라질발) 등이다.
신종 바이러스가 등장하면 인간은 백신을 개발하고 바이러스는 인간과 접촉하는 한 새롭게 변이된다. 델타에 이어 람다까지 만들어 낸 코로나19가 또 어떤 변이로 모습을 바꿀지 걱정이다.
2021-07-15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