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7이 합의한 B3W 구상은 미국과 G7 파트너가 손을 잡고 전 세계 개도국들이 필요한 40조 달러 이상의 인프라 요구를 지원한다는 것이 골자다. 중남미에서 아프리카, 인도·태평양 지역을 중심으로 개도국의 인프라 수요를 지원하면서 중국의 팽창을 막는 동시에 폭넓은 반중 연합전선을 구축하는 게 목표다. 기후, 보건, 디지털 기술, 성평등 등 4개 영역을 중심으로 G7 이외의 다른 민주주의 국가들을 동참시켜 투명한 인프라 파트너십을 구축한다는 계획도 있다. 개도국 인프라 개발을 지원하는 과정에서 국제·국가별 개발금융기구는 물론 민간 분야도 동원한다는 계획도 내놓았다. 바이든 행정부가 중시하는 동맹의 가치를 최대한 살리면서 최대 현안인 중국과의 패권전쟁에서 승리로 이끄는 대중 봉쇄전략의 일환으로 보는 시각이 짙다.
반면 일대일로는 중국 주도의 ‘신(新)실크로드 전략 구상’으로 내륙과 해상의 실크로드 경제벨트를 지칭한다. 일대(一帶)는 한(漢) 무제가 개척한 동서 교역로인 실크로드이며 일로(一路)는 명(明) 영락제 당시 정화(鄭和)의 남해 원정로로 해상 실크로드에 해당한다. 육·해상 두 축을 통해 해당 국가들의 교통 인프라를 연결하는 ‘범중화경제권’ 구축이 목표다. 2013년 시진핑 국가주석의 제안으로 시작된 이 프로젝트는 2049년까지 현대판 실크로드를 재구축, 중화부흥의 원대한 목표를 달성한다는 구상이다. 100여개 국가가 참여 중이나 일부 개도국들이 대중 빚더미에 올랐고 차관을 갚지 못해 국가 기반시설과 자원 개발권 다수가 중국에 넘어가는 문제도 불거졌다. 일대일로 참여 80% 이상이 중국 기업으로 사실상 중국의 이익 챙기기라는 비판도 적지 않았다.
일대일로의 대항마로 나선 B3W가 선언 이상의 가시적 성과를 거둘지는 미지수다. 당장 G7 가운데 일대일로에 참여 중인 이탈리아나 중국과 경제적 이해관계가 깊은 독일과 프랑스가 수동적 입장이다. 미중 패권 다툼 속에 운신의 폭이 좁아진 한국 역시 미중 사이에서 강도 높은 선택의 압박을 받지나 않을지 걱정이 앞선다.
oilman@seoul.co.kr
2021-06-14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