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가 최근 발표한 노인 실태조사에 따르면 과거와 달리 요즘 노인들은 자녀에게 의존하려 하지 않고 컴퓨터, 스마트폰, SNS 등을 통해 경제·문화·여가생활을 나름대로 누리고 있다. 자녀와 함께 살기를 희망하는 노인의 비율은 2017년 15.2%에서 지난해 12.8%로 더 낮아졌다. 첫 조사가 이뤄진 2008년에는 32.5%를 기록했지만 이후 27.6%, 19.1%, 15.2%, 12.8% 등으로 매년 줄어드는 추세다. 나이 들면 자녀에게 의지하거나 자녀와 함께 살아야 한다는 고정관념에서 급속히 탈피하고 있는 것이다.
은퇴 후 경제적 능력을 갖춰 자녀들에게 부담을 주지 않으려는 노인들 또한 크게 늘어나고 있다. 65세 이상 노인의 경제활동 참여율은 36.9%로, 3명 중 1명 이상이었고 노인 혼자 또는 노인 부부만 생활하는 노인 단독가구 비율은 78.2%로, 2008년의 66.8%보다 크게 늘었다고 한다. 10명 중 8명의 노인은 자녀에게 의지하기보다는 혼자의 삶을 선택하고 있는 셈이다. 스마트폰을 보유하고 있는 노인 비율은 2011년 0.4%에 불과했지만 지난해에는 56.4%로 절반 이상이었다. 디지털 세상에 대한 적응력을 높여 가며 여가·문화뿐 아니라 소통의 삶을 이어 가고 있다. 세계에서 고령화 속도가 가장 빠른 만큼 변화하는 세상에 대한 적응력 또한 남다르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20세기 가장 아름다운 여인으로 꼽혔던 오드리 헵번(1929~1993)의 외모가 21세기의 대중문화에도 자주 등장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젊은 날 영화배우로서의 눈부신 외모뿐 아니라 아프리카의 어린 생명을 위해 봉사한 은퇴 후의 삶 또한 남달리 아름다웠기 때문일 것이다.
독일의 대문호 괴테는 “무용한 삶은 앞당겨진 죽임이다”라고 했다. 자신의 삶이 아무 쓸모없는 것이라는 생각만큼 사람을 무기력하게 하고 삶의 의미를 잃게 하는 것은 없을 것이다. 반면 무엇을 진정으로 바라고 사랑하는 사람은 열정이 충만할 뿐 아니라 두려움마저 사라지게 한다. 아무리 나이가 들어서도 변화를 두려워하지 않고 열정 가득한 삶을 살아간다면 감히 ‘꼰대’라 말할 수 없을 것이다. 시대 변화에 잘 적응하려 노력하는 우리 주변의 노인들은 이른바 ‘신꼰대’다. 그들을 좀더 이해하려는 마음으로 바라봤으면 한다.
yidonggu@seoul.co.kr
2021-06-10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