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에서 진 뒤 기후변화 문제에 투신한 인물로는 앨 고어가 더 유명하다. 고어는 케리보다 더 대통령직에 가까이 갔었다. 그는 2000년 대선에서 부시 후보보다 전체 득표수에서는 54만표를 더 얻었음에도 미국 대선 제도 특유의 선거인단 확보에서 밀려 고배를 들었다. 더욱이 플로리다주의 재개표 과정을 놓고 논란이 있었다는 점에서 그는 몹시 억울할 만했다. 하지만 고어는 화병으로 앓아눕는 대신 환경운동가로 변신했고 그 공로로 2007년 노벨평화상을 받았다.
한국에서도 한때 ‘대권’을 꿈꿨던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이 현재 대통령 직속 국가기후환경회의 위원장으로 일하고 있다. 엄밀히 말하면 반 전 총장은 케리나 고어의 경우와는 다르다. 반 전 총장은 정치인이 아닌 직업 외교관 출신이었고 대선에 정식 후보로 나서기 전 중도 포기했기 때문이다. 그래도 능력을 사장시키지 않고 인류를 위한 일에 기여하는 것은 바람직해 보인다.
기후변화 문제는 당장의 먹고사는 일과는 무관한 것 같고 따분한 인상을 주기 때문에 일반인들은 무관심하기 십상이다. 이런 이슈에 인지도가 높은 거물 정치인이 관여하면 대중의 관심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미국에서는 대선 후보로 나섰다가 떨어진 정치인은 다시 출마하지 않는 게 관행처럼 돼 있다. 당내 경선에서 떨어진 경우는 재도전하는 게 어색하지 않지만, 본선 패배는 이미 국민의 심판을 받은 것으로 간주된다. 반면 한국에서는 대선후보로 나갔다가 떨어진 뒤 재수, 삼수를 해서라도 대통령이 되려는 경우가 다반사다. 하지만 정치권력을 잡는 것만이 국가에 기여하는 건 아니다. 환경운동처럼 대선후보 출신으로서 ‘네임 밸류’를 활용해 기여할 수 있는 값진 분야가 얼마든지 많다는 사실을 고어와 케리는 몸소 보여 준다.
그리고 그런 일은 대통령이 되겠다고 소셜미디어로 정적(政敵)에게 저주를 퍼붓는 것보다 훨씬 더 자기 자신의 행복지수를 높여 줄 수도 있다. 케리 특사가 오는 17일 한국을 방문한다. 그가 얼마나 행복해 보이는지, 관상(觀相)이 얼마나 좋아졌는지 꼼꼼히 살펴보자.
carlos@seoul.co.kr
2021-04-15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