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AI 철책/김상연 논설위원

[씨줄날줄] AI 철책/김상연 논설위원

김상연 기자
김상연 기자
입력 2021-02-23 20:48
수정 2021-02-24 03:1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외부의 침입자를 막기 위해 장벽을 두르는 것은 가장 원시적이면서도 지금까지 존속되고 있는 생존 방식이라는 점에서 놀랍다. 2000여년 전 중국 진시황제가 북방 이민족의 침입을 막고자 만리장성을 쌓았다면 우주선을 화성에 보내는 오늘날엔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불법 이민자를 막기 위해 멕시코와의 국경에 콘크리트 장벽 건설을 시도했다. 남북한이 대치하고 있는 한반도에도 휴전선을 따라 철책이 반세기 넘게 설치돼 있다.

장벽을 인간이 쌓았다면 그것을 어떻게든 뚫어 내려는 것도 인간이다. 기어오르거나 우회하거나, 아니면 땅굴을 파서라도 장벽을 무력화시키려 드는 게 호모사피엔스다. 1차 세계대전 때 프랑스는 마지노선이라는 철벽 방어선을 구축했지만, 그것을 우회한 독일군에 속절없이 무너졌다. 2017년엔 멕시코의 불법 이민자들이 땅굴로 국경을 통과했다가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붙잡힌 사건이 있었다. 북한도 과거 여러 차례 휴전선 밑으로 땅굴을 팠다가 발각됐다.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땅굴 뉴스가 들리지 않는다. 굳이 땅굴을 파지 않아도 지상 철책을 통과하는 게 더 경제적이어서일까. 1968년 김신조를 비롯한 북한 민족보위성 정찰국 124부대 소속 31명이 군사분계선을 넘은 뒤 청와대 근처까지 침입해 남한 사회가 발칵 뒤집힌 사건이 있었다. 그런데 첨단 기술이 발달한 지금도 철책 통과가 그리 어렵지 않은 모양이다.

지난 16일 강원 고성 통일전망대 인근으로 월남한 북한 남성은 해안 철책 배수로를 통해 남쪽으로 넘어온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해 7월 탈북민 김모씨도 인천 강화도 월곳리의 배수로를 통해 월북했다. 곳곳이 구멍인 셈이다. 특히 16일 월남 사건의 경우 감시·경계용 카메라(CCTV)에 귀순 북한 남성이 10차례나 포착됐는데도 우리 군은 8번이나 놓쳐 경계·감시망에 심각한 허점을 드러냈다. 아무리 첨단 장비를 설치해 줘도 경비가 나아질 기미가 없자 아예 인공지능(AI) 시스템을 해안 철책에 구축하는 방안을 군이 추진한다고 한다. 하지만 AI도 완벽하진 않다는 전문가들이 있다. 안개나 역광 등에 맹점이 있다는 것이다. 만약 AI를 도입했는데도 뚫리면 이젠 AI를 군율에 따라 처벌해야 하나.

세상에 완전무결한 장벽이나 철책은 없다고 본다면 그것은 결국 인간의 심리적 안정을 위한 보루가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든다. 소용이 있든 없든 일단 담을 쳐 놔야 안심이 되고 밤잠이 오는 것이다. 그렇게 보면 장벽이나 철책이 인간을 더 안이함에 빠지게 한다고도 말할 수 있다. 역으로 장벽이나 철책이 없다면 어떻게 될까. 더 바짝 긴장해서 눈을 부릅뜨고 지키려 하지 않을까.

carlos@seoul.co.kr
2021-02-24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