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핑크뮬리의 운명/이종락 논설위원

[씨줄날줄] 핑크뮬리의 운명/이종락 논설위원

이종락 기자
입력 2020-11-29 20:20
수정 2020-11-30 03:2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핑크뮬리 그라스(Pink Muhly Grass·이하 핑크뮬리)는 벼과 여러해살이 식물로 꽃 이삭이 쥐꼬리를 닮아 우리말로는 ‘털쥐꼬리새’라고 한다. 분홍색이나 자주색의 꽃이 피어 핑크뮬리라고 하며 억새와 비슷하게 생겨서 ‘분홍 억새’ ‘서양억새’라고도 부른다. 긴 녹색 잎은 여름에 자라기 시작해 가을에 분홍꽃으로 개화한 뒤 11월 말까지 은은한 연분홍빛이나 연한 자줏빛, 보랏빛의 꽃이 핀다. 전국 군락지마다 핑크빛 물결을 이뤄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사진찍기 좋은 관광 명소로 인기를 끌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코로나19에 지친 시민들이 자주 찾으며 코로나 스트레스를 날려버리곤 했다.

핑크뮬리는 미국의 플로리다주, 루이지애나주, 조지아주 등 서부나 남부의 따뜻한 지역의 평야에서 자생하는 풀이다. 국내 모 대기업 회장이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한 골프장을 찾았다가 핑크뮬리의 아름다움에 반해 국내 골프장에 식재하기로 하고 5만본을 들여 온 것이 시초인 것으로 알려졌다. 기후의 영향을 많이 받는 탓에 국내에 들어 온 핑크뮬리는 영하 25도까지 떨어지는 한국의 추운 겨울을 이겨내지 못할 것이라는 예상이 많았다. 그러나 온난화 현상 등으로 5년 전부터 제주도를 중심으로 생육 조건이 갖춰지며 핑크뮬리가 점차 안정화기에 접어들면서 중부권까지 생육이 가능해졌다.

반면 환경부는 지난해 12월 핑크뮬리를 ‘생태계 위해성 2급’으로 지정한 데 이어 지방자치단체에 식재 자제를 권고했다. 생태계 위해성 1급 생물은 ‘생태계 교란 생물’로 수입·유통·재배 등이 금지된다. 2급은 당장 생태계에 미치는 위해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향후 위해를 줄 수 있는 생물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한 생물이다. 국립생태원은 “현재 핑크뮬리의 생태계 위해성은 보통 수준이지만 향후 생태계를 교란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어 확산 정도와 생태계 등에 미치는 영향을 지속적으로 관찰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그런데도 제주시와 서귀포시가 지난달 용담2동 도령마루와 안덕면 조각공원에 심은 핑크뮬리를 모두 제거하기로 했다. 최근에는 인천국제공항이 하늘정원에 만든 핑크뮬리 군락지 처리를 놓고 고민 중이다. 하지만 핑크뮬리를 전국에 보급한 김명회(53) 산내식물원 대표는 “국내 기후로는 자연 번식이 이뤄질 가능성이 낮아 생태계를 교란하지 못할 것”이라면서 “비용과 예산을 들여 지자체가 관광명소로 조성해 둔 핑크뮬리 조성지를 정확한 연구와 진단 없이 무작정 베어버리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반박한다. 국립생태원이 1년에 한 번씩 재평가를 할 수 있는데 한반도에 퍼진 핑크뮬리의 운명은 내년쯤 가려질 듯하다.

jrlee@seoul.co.kr
2020-11-30 31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북특별자치도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가능할까?
전북도가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도전을 공식화했습니다. 전북도는 오래전부터 유치를 준비해 왔다며 자신감을 보였지만 지난해 ‘세계잼버리’ 부실운영으로 여론의 뭇매를 맞은 상황이라 유치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도 있습니다. 전북도의 올림픽 유치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가능하다
불가능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