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은 수백만년 전 지구상에 등장한 이래 대부분의 근무 형태가 수렵·채집이었다. 동물을 사냥하거나 식물을 캐내려면 사방팔방을 돌아다녀야 했기에 인류는 집 밖으로 나가야만 생계를 유지할 수 있었다. 농경사회에 들어선 이후에도 곡식을 재배하려면 논밭으로 ‘출근’해야 했고, 산업혁명으로 도시화가 진행된 이후에는 직장과 집이 더욱 엄격히 분리됐다. 가내수공업이라는 근무 형태가 있긴 하지만(예컨대 영화 ‘기생충’에서 피자 배달 박스 포장을 하는 주인공 가정) 대다수 인간의 머릿속에서 집과 직장은 번지수를 따로 두려 한다. 코로나19라는 전대미문의 전염병으로 전 세계의 많은 직장들이 재택근무를 채택했을 때 당황스러움이 대두한 것도 그런 이유에서였다.
하지만 ‘적응의 동물’답게 인간은 재택근무에도 적응했다. 가장 큰 깨달음은 출근하지 않아도 직장은 돌아간다는 것이다. 직장 동료들과 하루에 여러 차례 대면회의를 하지 않아도 큰 문제가 없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재택근무가 비(非)재택근무에 버금가는 효율을 보인다면 인터넷 등 첨단 커뮤니케이션의 발달 덕분일 것이다. 정보기술(IT) 업체들이 재택근무에서 앞서가는 것도 이런 배경에서다.
미국의 코로나19 감염세가 다시 악화하자 세계적 기업 구글이 재택근무 허용 기간을 내년 7월까지로 연장한 것으로 28일 알려졌다. 미국의 다른 IT 기업들도 속속 뒤를 따를 것으로 보인다. 트위터, 페이스북 등은 이미 지난 5월 코로나19 사태가 끝난 뒤에도 직원들이 원하면 계속해서 재택근무를 하도록 허용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재택근무가 효율성을 떨어뜨린다는 주장도 있다. 좋은 아이디어는 편하게 마주보고 대화할 때 불쑥 튀어나오는 경우가 많다는 점을 들어 재택근무는 비효율적이라는 것이다. 반면 코로나19가 아니더라도 어차피 인류는 갈수록 언택트 시대로 가는 만큼 재택근무 형태가 언택트의 장단점을 파악하기에 오히려 더 유리하다는 반론도 있다. 구글과 같은 IT 회사는 어쩌면 그 점을 이미 간파했는지도 모른다. 질병이나 전쟁이 역설적으로 인간의 기술을 크게 진보시킨 역사를 보면, 코로나19가 예상치 못한 진화를 가져올지도 모르겠다. 그런 인류를 ‘호모코로나쿠스’라고 해야 하나.
2020-07-29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