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에이즈, 조류인플루엔자, 사스, 에볼라 등 인류의 생명을 위협하는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은 여전히 없다. 세계에서 대유행하고 있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또한 마찬가지다. 전 세계가 앞다퉈 백신 개발에 사활을 걸고 달려들고 있지만 아직 뾰족한 성과가 없다. 이달 초 우리나라를 포함해 중국, 일본, 유럽연합(EU) 등 세계 40여개국은 코로나19 백신 및 치료제 개발을 위한 공동 연구 개발을 위해 75억 유로(약 10조원)를 모금하기로 했다. 이 기금은 국제민간공동기구인 감염병혁신연합(CEPI), 세계백신면역연합(Gavi) 등에 지원돼 진단법, 치료제, 백신을 개발하고 분배하는 데 사용되며 누구나 살 수 있는 저렴한 가격에 백신 등을 제공하는 게 목표다. 미국은 여기에 동참하지 않았다.
또한 지난 18~19일 WHO의 세계보건총회에서 ‘코로나19 백신 독점 방지 결의안’ 채택에 100개가 넘는 국가들이 지지했다. 팬데믹 상황에서 모든 국가가 백신을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도록 특정 제약회사의 특허 독점을 허용하지 않는다는 내용이다. 미국은 노골적으로 반대했다. 대형 제약회사가 많은 미국이 가장 먼저 백신 개발에 성공할 것이라는 확신에 기반한 입장이다. 막대한 연구개발 비용을 투입한 민간기업의 이익을 침해해선 안 된다는 논리다. 미국으로서는 당연할 수도 있겠지만, 인류의 생존권적 위협에 함께 힘을 모아 대응하자는 국제사회 공조 흐름에 역행하는 셈이다.
예방약인 백신의 개발은 치료제 개발 못지않게 중요하다. 하지만 턱없이 비싼 값이라면 저개발 국가에는 ‘그림의 떡’일 뿐이다. 게다가 보건 상황이 열악한 아프리카, 아시아 등의 저개발국가는 각종 질병 바이러스에 더 취약하다. 최소한의 보편적 인류애는 함께 사는 것에서 시작된다. 가난이 죽음의 원인이 되는 것은 어디에서도 있어선 안 될 일이다. 참고로 위에서 언급한 B형 간염 백신의 개발도상국 구입 가격은 평균 0.66달러(2015년 기준)다. 반면 미국에서는 50~100달러이다. 인류애적 가격 정책이다. 미국 아닌 국제민간공동기구에서 코로나19 백신을 먼저 개발하기를 간절히 바랄 뿐이다.
youngtan@seoul.co.kr
2020-05-21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