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색적인 비난으로 지지층을 결집시키는 것은 트럼프 대통령 특유의 선거 전략이다. 이번에도 문화 분야에 돈 계산에 기초한 ‘미국 우선주의’ 시각을 갖다붙였지만, 미국 내 역풍이 만만치 않다. 당장 미국 언론들이 발끈했다. CNN의 크리스 실리자 선임기자는 “다양한 관점을 존중하는 미국의 건국 원칙과 상충한다”고 비판했다. 뉴욕타임스 칼럼니스트인 모린 다우드는 ‘미국의 기생충’이란 제목의 칼럼으로 ‘트럼프의 외국인 혐오적 영화 비판’을 문제 삼았다. 골든글로브상을 수상했던 미국 배우 벳 미들러는 트위터에 “백악관에 기생충이 살고 있다는 사실이 더 화가 난다”고 적었다.
트럼프 대통령의 영화 ‘기생충’ 비판은 번지수가 틀렸다. 미국인들이 영화 ‘기생충’에 열광하는 이유는 빈부격차라는 전 세계적인 문제에 대한 공감이다. 미국 자존심의 상징인 아카데미상 4개를 변방으로 취급했던 한국 영화에 ‘양보’한 것도 이런 맥락일 것이다. 하루가 멀다하고 미국 실리콘밸리를 중심으로 백만장자가 탄생하지만 미국 서민의 삶은 갈수록 팍팍해지고 있다. 한때 제조업의 심장으로 불렸던 미국 중서부와 남부에서는 공동화 현상이 만연하고 실업자가 속출한다. 거리에는 ‘마약 중독자’만 늘어 가는 실정이다.
자본주의 심장부 미국은 지금 ‘샌더스 돌풍’에 휩싸여있다. ‘민주적 사회주의자’를 자처하는 버니 샌더스 민주당 상원의원은 네바다주 코커스(당원대회)에서 압승을 거두며 부동의 1위를 굳히는 중이다. ‘반(反)트럼프의 기수’로서 그는 공정과 정의가 사라진 미국식 민주주의의 개혁을 말하고 있다. 무분별한 트럼프 대통령의 ‘기생충’ 비판은 한국인에 대한 모독이자 빈부격차와 금권정치 혁파를 열망하는 미국인의 마음을 외면하는 처사다.
2020-02-24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