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6월 백악관을 방문한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에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친서가 들려 있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싱가포르 1차 북미 정상회담 취소를 전격 발표한 직후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친서를 받아본 뒤 예정대로 정상회담을 열겠다고 했다. 뒤이어 그해 7월 초 방북한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의 가방에도 김 위원장의 친서가 들어 있었다. 미 국무장관의 방북에 ‘빈손’ 논란이 일었던 때문인지, 트럼프 대통령은 며칠 뒤 친서를 보낸 일을 공개하며 협상의 끈을 이어갔다. 하노이 2차 북미 회담의 물꼬를 튼 것도, 3차 정상회담의 기대를 높인 것도 친서였다.
두 정상들이 몇 차례나 친서를 교환했는지는 확실치 않다. 친서 전달 사실은 대내외에 전달하고 싶은 메시지가 있을 때만 공개하기 때문이다. 북은 트럼프 대통령의 친서를 읽고 있는 김 위원장의 모습을 노동신문 1면과 조선중앙통신, 조선중앙TV 등에 내보낸 적이 있다. 공개된 10차례 서신 교환 외에, 지난 8월에는 김 위원장이 일주일 간격으로 두 차례 친서를 보낸 것으로 알려진다. 중순에는 3차 북미 정상회담 개최와 평양 초청 의사가 담긴 비공개 친서를 보냈다는 기사도 나왔다.
친서 공개는 ‘티저 광고’와 비슷하다. “김 위원장의 3쪽짜리 아름다운 친서(트럼프)”라거나 “흥미로운 내용, 심중히 생각해볼 것(김정은)”이라는 식이다. 친서에 무슨 결정적인 조건이나 내용이 담기는 일은 없다고 보는 게 일반적이다. 시간이 지나 공개된 ‘세기의 친서’들이 그랬다. 결단을 내릴 수 있음을 암시함으로써 대화의 모멘텀을 이어가려는 성의 정도를 담곤 했다. 친서 내용을 묻는 질문에 어느 나라든 고위당국자들이 “확인해 줄 수 있는 것이 없다”고 답하는 것은, 당연해 보이기도 하다.
트럼트 대통령의 사위인 재러드 쿠슈너 백악관 선임고문이 한 전기 작가에게 했다는 말이 이목을 끈다. “김 위원장의 아버지가 그에게 핵은 유일한 안전 보장 수단이니 절대 핵무기를 포기하지 말라고 했다”는 것인데, 김 위원장의 친서를 보여주면서 한 것으로 보도되고 있다. 보도는 이 ‘새로운 유훈’이 친서에 직접 담긴 것 같은 느낌을 주고 있어 “비핵화는 김일성 주석과 김정일 총서기의 유훈”이라는 ‘알려진 유훈’과 충돌을 일으킨다. 이어 쿠슈너는 “그래서 쉽지 않은 전환”이라고 했는데, 미국이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인정하려는 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부추길 만하다. 어떤 유훈을 담았는지에 따라 친서가 파장을 일으킬 수도 있겠다.
jj@seoul.co.kr
2019-10-25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