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방에 감초라면, 명약·만병통치약에는 ‘스테로이드’였다는 사실을 보통 사람들은 그즈음 알게 됐다. 물약, 안약, 먹는약, 연고 및 각종 주사제에 ‘엄청나게’ 사용됐다고 한다. 명약이라면 한약도 빠질 수 없다. 노인들이 약효의 확실한 증거였다. ‘기적의 환(丸)’으로 걷고 뛰는 노약자들이 목격되면서 “줄 서서 사먹었다”고 한다.
스테로이드를 끊기 어려운 건 환자보다는 의사 쪽일 수도 있다. 워낙 약효가 탁월해서다. 아토피에도, 구안와사에도, 관절염에도, 심지어는 감기에도. 소염 효과야 워낙 잘 알려진 것이지만, 어떤 원리냐고 의사에게 물었다. “국소 혈류를 증가시켜 문제가 생긴 장기에 혈류 흐름을 일시적으로 좋게 만든다. 그래서 약발이 잘듣는다”고 한다.
뭐니뭐니해도 스테로이드 유명세는 스포츠 분야에서 형성됐다. “‘아나볼릭 스테로이드’는 남성호르몬을 분비시켜 근육과 근력을 키우는 효과가 있다. 집중력을 높여 주고, 피로회복도 빨라진다.” 한마디로 ‘경기력 향상 약물’(PED)이다. 1976년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공식 금지하고, 1988 서울올림픽 때 벤 존슨 파문 이후 경각심이 일기 시작했지만 역부족이었다. 결국 ‘스포츠계의 악마’로까지 불릴 만큼 굳건하게 자리잡고 온갖 스캔들을 일으켰다.
산이 높으면 골이 깊다고 했나. ‘명약’이 사라진 건 그 극심한 부작용 때문이었다. 일시적으로 면역력을 증강시키지만, 장기 복용은 끝내 면역체계를 망쳐 회복 불능에까지 이르게 한다는 걸 알게 된 것이다. 호르몬 분비 체계를 흔들어 체형을 변화시키기도 한다. 간염·간암, 신장 손상, 갑상선 기능 저하, 고혈압, 근육파열, 급성 심장마비, 녹내장, 백내장, 탈모, 각종 성 관련 장애, 우울증…. 부작용은 인터넷만 찾아도 쏟아질 정도로 많다.
그럼에도 스포츠계는 아직 이 ‘명약’을 놓지 못하고 있다. 스테로이드 장기 복용에 따른 요절 사례들까지 보고됐지만 각국 도핑방지위원회가 여전히 바쁜 스포츠 관련 기관인 것은 그 ‘만능성’의 위력 때문일 것이다.
이러한 걸 야구교실 소속 유소년 선수들에게 사용했다 한다. 참으로 인면수심이다.
jj@seoul.co.kr
2019-07-04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