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들이 예서에게 무한 신뢰를 보낸 근거가 있다. 자퇴하겠다는 예서가 제 손으로 짜서 보여 준 ‘홈스쿨 일과표’는 찬란(?)했으니까. 고득점 학습법을 온몸으로 꿰뚫고 있는 예서에게 검정고시는 땅 짚고 헤엄치기. 온갖 신경 다 써야 하는 학생부 관리에 손을 떼고 수능에만 올인하면 바늘구멍 정시인들 거침없이 뚫을 것이기에.
새 학년을 맞는 고등학교 교실이 어수선해질 때다. 교실 분위기만이 아니다. 1, 2학년 때 내신성적을 제대로 받지 못한 학생들은 심란하기 짝이 없다. 중상위권이라면 한번쯤 자퇴 고민을 해보는 때가 이즈음이다. 현실을 따져 보자면 이런 주판알을 튕기지 않을 수 없다. 내신 1, 2 등급을 따지 못했다면 어차피 상위권 대학의 수시 전형에 지원할 길이 막혔다. 그런 마당에 학생부의 온갖 기록들을 관리하느라 에너지를 낭비할 이유가 없는 것이다. 1, 2점에 피 마르는 등급 전쟁을 벌여야 하는 중간·기말 고사, 밤잠을 안 자도 해결하기 힘든 전 과목 수행평가, 자율 동아리, 봉사활동, 독서, 소논문, 교내 수상 관리까지. 수능 정시로 입시를 결정하면 크고 작은 편법을 동원하면서까지 공들여야 하는 학생부 요지경 장치들에서 해방될 수가 있다.
수시 전형 80% 시대에 자퇴는 불가피한 선택으로 자리잡는 중이다. 내신과 학생부 관리를 놓치면 손써 볼 도리가 없으니 바늘구멍 정시라도 뚫으려고 해마다 자퇴생이 늘어난다. 내신 경쟁이 치열한 특목·자사고를 진학하면서 처음부터 자퇴를 각오하는 학부모와 학생들도 적지 않다. 현실적인 계산이 빠르고 실행 환경이 뒷받침된다면 자퇴는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될 판이다.
입시전문 업체가 지난해 서울 지역 고교 자퇴 현황을 분석했더니 강남, 서초, 송파구 등 교육특구에서 학업 중단자 수가 두드러졌다. “내신을 망쳤어도 부모 뒷바라지가 안 되는 아이는 끝까지 학교를 견뎌야 하는 현실”이라는 댓글의 자조가 서글프다.
“이제 마음잡고 공부해야지.” 패자부활이 봉쇄된 학종 시대에 유물이 된 말이다. 이런 꿈을 꾸는 ‘바보’는 없다. 공교육을 살리겠다는 수시 전형이 공교육을 시들게 하는 역설적 현실이다.
2019-02-21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