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초연결 사회와 로그아웃/김성곤 논설위원

[씨줄날줄] 초연결 사회와 로그아웃/김성곤 논설위원

김성곤 기자
입력 2018-11-28 18:06
수정 2018-11-28 18:0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미국의 저널리스트이자 미디어 생태학자인 수전 모샤트는 2009년 10대의 딸 셋과 함께 6개월간 인터넷과 게임 등 모든 전자 기기의 전원을 끄는 ‘오프라인’ 세상 실험을 한다. 자녀의 반응은 처음에는 “농담이에요?” 했다가 이후엔 반발로 바뀌지만, 이를 설득해 ‘로그아웃’ 세상을 강행한다. 하루하루 변화를 일기로 쓴다. 이를 통해 사라졌던 토론이 이뤄지고, 가족애를 재확인했다고 한다. 잘 자고 잘 쉬고 잘 먹는 진정한 휴식을 깨닫는 성과도 거둔다.
만약 지금 한국의 어떤 가정에서 이를 실행한다면 어떻게 될까. 어쩌면 가출자가 나오거나 인권위원회에 제소하는 자녀가 나오지 않을까. 우리는 이미 네트워크에서 독립체가 아닌 구성 요소가 돼 버린 지 오래다. 우리의 일상은 빅데이터의 일부가 됐다. 사람들은 ‘초연결 사회’에 살면서도 오프라인 사회를 꿈꾼다. 방송에서 오지체험 등이 인기를 끄는 것도 이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기간이 길어지면 금단증상 때문에 어려움을 겪는다.

사람들은 대부분 히말라야 하면 세상과는 단절된 곳으로 안다. 히말라야 트레킹을 맘먹는 사람의 상당수는 거기 가서 한 보름 동안 전화도 인터넷도 잊고 세상과 단절한 채 지낼 꿈을 꾼다. 하지만 그곳도 네트워크에 닿아 있기는 마찬가지다. 트레킹 중에는 인터넷 등이 불통이지만, 통나무로 지어진 로지에 가면 난방은 안 되어도 태양광을 이용한 충전과 와이파이가 터진다. 3000m, 4000m, 5000m 고도가 높아질수록 사용료는 높아진다. 처음에 인터넷과의 단절을 꿈꿨던 사람들은 며칠이 지나면 너도나도 유료로 와이파이를 연결해 찍은 사진을 보내고 뉴스를 접한다고 한다.

지난 24일 KT 서울 아현지사에 난 불로 빚어진 서울 서북부 지역 등의 통신대란 여진이 지속되고 있다. 명확한 화재 원인은 규명되지 않았고, 복구도 진행 중이다. 결제가 안 돼 피해를 입은 자영업자 등은 피해 보상을 요구하고 있다. 결과는 대란이었지만, 그 원인은 KT 지사 가운데 등급이 가장 낮은 D급 지사 지하 통신망에서 난 작은 불이었다. 백업 시스템도 갖춰지지 않았고, 스프링클러도 없었다고 한다. 사람과 사람, 사람과 기계, 기계와 기계로 이뤄지는 초연결 사회는 이제 돌이킬 수 없는 대세다. 그렇다면 로그아웃에 대한 대비책은 최악을 가정해 철저히 강구하는 게 맞다. 끊어지면 세상이 멈추고 수습이 곤란한 혼란이 생기기 때문이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사람이다. 로그아웃 대비책뿐 아니라 갈수록 네트워크 세상에서 부속물로 전락해 가는 인간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한 시점이다.

sunggone@seoul.co.kr
2018-11-29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