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몹쓸 사회가 왜 술을 권하는고!”
일제 치하 부조리한 현실의 고통을 술로 달래는 나약한 지식인의 초상을 해학적으로 그린 현진건의 단편소설 ‘술 권하는 사회’는 끝내 남편을 이해하지 못하는 아내의 절망적인 탄식으로 끝맺는다. 동경 유학을 다녀온 남편은 주정꾼 노룻의 이유를 조선사회 탓으로 돌리지만, 배움이 적은 아내는 처음 듣는 말인 ‘사회’가 조선에만 있는 요리집 이름이겠거니 여긴다. 어찌 됐든 남편이나 아내나 술 마신 사람보다 술 권한 사회가 잘못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마찬가지 같아 씁쓸하다.
‘핑계 없는 무덤 없듯 핑계 없는 술자리 없다’는 우스갯소리가 있다. 내가 마시고 싶어서가 아니라, 불가피한 사정이나 주변 환경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술을 마신다는 변명은 애주가의 단골 레퍼토리다. 음주의 이유를 외부에서 찾는 이런 문화가 한국 사회를 음주에 관대한 분위기로 이끄는 데 일조한 건 아닌가 싶다. 술 마시는 이유를 어디서 찾든 그건 본인 마음이다. 다만 음주운전 사고나 주취폭행 같은 범법 행위의 책임은 오롯이 자신에게 있다는 점은 명심해야 한다.
현진건의 소설 배경과는 맥락이 다르지만, 한국 사회가 다른 나라에 비해 ‘술 권하는 사회’인 것만은 분명하다. 과거와 달리 회식 자리에서 음주를 강요하는 문화가 꽤 사라졌다고 하나 여전히 술을 잘 마시는 사람이 모임에서 환영받는다. 드라마나 영화 등 대중매체에서도 음주 장면은 흔하다. 인사불성으로 만취한 장면이 양념처럼 나오고, 케이블방송에선 음주 토크를 콘셉트로 한 예능 프로그램도 방영 중이다. 술 광고는 또 어떤가. 소주 CF 모델은 여성 아이돌 스타의 인기를 가늠하는 바로미터가 된 지 오래다. 맥주 광고는 목넘김 소리를 극대화하고, 거품의 부드러움을 최상급으로 표현하는 데 사활을 건다.
‘윤창호법’ 발의로 음주운전 사고에 대한 경각심이 고조되는 등 무분별한 음주문화의 폐해를 지적하는 목소리가 높아지자 정부가 그제 예방 계획을 발표했다. 이르면 2022년부터 초·중·고교와 병·의원, 공공기관 등을 금주 구역으로 지정하고, 주류 광고를 규제하는 내용이 핵심이다. 주류 용기에 순 알코올 함량을 표기해 과음 자제를 유도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이전보다 강도 높은 금주 정책이지만 외국에 비하면 여전히 관대하다. 노르웨이에서는 모든 술 광고를 금지하고, 캐나다에선 공원에서 술에 취해 휘청거리면 영장 없이 체포할 수 있다고 한다. 문제는 관련법 개정이다. 2012년과 2015년에도 금주 구역 지정을 추진했지만 무산됐다. 더 늦기 전에 ‘술 권하는 사회’라는 오명을 벗어야 한다.
coral@seoul.co.kr
‘핑계 없는 무덤 없듯 핑계 없는 술자리 없다’는 우스갯소리가 있다. 내가 마시고 싶어서가 아니라, 불가피한 사정이나 주변 환경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술을 마신다는 변명은 애주가의 단골 레퍼토리다. 음주의 이유를 외부에서 찾는 이런 문화가 한국 사회를 음주에 관대한 분위기로 이끄는 데 일조한 건 아닌가 싶다. 술 마시는 이유를 어디서 찾든 그건 본인 마음이다. 다만 음주운전 사고나 주취폭행 같은 범법 행위의 책임은 오롯이 자신에게 있다는 점은 명심해야 한다.
현진건의 소설 배경과는 맥락이 다르지만, 한국 사회가 다른 나라에 비해 ‘술 권하는 사회’인 것만은 분명하다. 과거와 달리 회식 자리에서 음주를 강요하는 문화가 꽤 사라졌다고 하나 여전히 술을 잘 마시는 사람이 모임에서 환영받는다. 드라마나 영화 등 대중매체에서도 음주 장면은 흔하다. 인사불성으로 만취한 장면이 양념처럼 나오고, 케이블방송에선 음주 토크를 콘셉트로 한 예능 프로그램도 방영 중이다. 술 광고는 또 어떤가. 소주 CF 모델은 여성 아이돌 스타의 인기를 가늠하는 바로미터가 된 지 오래다. 맥주 광고는 목넘김 소리를 극대화하고, 거품의 부드러움을 최상급으로 표현하는 데 사활을 건다.
‘윤창호법’ 발의로 음주운전 사고에 대한 경각심이 고조되는 등 무분별한 음주문화의 폐해를 지적하는 목소리가 높아지자 정부가 그제 예방 계획을 발표했다. 이르면 2022년부터 초·중·고교와 병·의원, 공공기관 등을 금주 구역으로 지정하고, 주류 광고를 규제하는 내용이 핵심이다. 주류 용기에 순 알코올 함량을 표기해 과음 자제를 유도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이전보다 강도 높은 금주 정책이지만 외국에 비하면 여전히 관대하다. 노르웨이에서는 모든 술 광고를 금지하고, 캐나다에선 공원에서 술에 취해 휘청거리면 영장 없이 체포할 수 있다고 한다. 문제는 관련법 개정이다. 2012년과 2015년에도 금주 구역 지정을 추진했지만 무산됐다. 더 늦기 전에 ‘술 권하는 사회’라는 오명을 벗어야 한다.
coral@seoul.co.kr
2018-11-15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