짧은 역사에 비해 한국은 등반 강국이다. 고(故) 고상돈 대원이 1977년 세계에서 58번째, 한국에선 처음으로 에베레스트 등정에 성공한 이후 40여년 만에 히말라야 8000m 이상 14좌 완등자를 6명이나 배출했기 때문이다. 그 성공에는 많은 희생이 뒤따랐다. 1971년 마나슬루(8163m) 등정에 나섰다가 빙하 틈으로 떨어져 숨진 김기섭 대원을 시작으로 한국인 여성 최초로 에베레스트 등정에 성공했던 지현옥 원정대장이 1999년 안나푸르나(8091m)에 오른 뒤 하산하다가 실종됐다. 영화 ‘히말라야’의 주인공인 박무택은 2004년, 히말라야 14좌 완등에 도전한 고미영 대장은 2009년 히말라야의 별이 됐다. 한국인 최초로 에베레스트 무산소 등정(1993년)에 성공한 박영석 대장이 이끈 원정대도 2011년 10월 안나푸르나에서 코리안 루트를 개척하다 눈사태로 실종됐다.
안나푸르나 베이스캠프나 에베레스트 베이스캠프 근처에서는 히말라야 등반이나 트레킹 도중 숨진 사람들의 추모비를 곳곳에서 볼 수 있다. 안나푸르나 베이스캠프에는 박영석 대장과 지현옥 대장 추모비도 있다. ‘천상에서도 더 높은 곳을 향하고 있을 그대들이여, 박영석, 신동민, 강기석 이곳에서 산이 되다’라는 글이 새겨진 박영석 원정대 추모비와 ‘가방을 둘러멘 그 어깨가 당당했다’라고 적힌 지현옥 추모비를 보면서 한국 트레커들은 막걸리를 올리며 눈자위를 붉히곤 한다.
인류의 역사는 끊임없는 도전의 연속이었고, 그 도전 정신이 발전을 이끌었다. 그것이 산이든 어디든 인간 한계 극복을 위한 노력은 앞으로도 지속될 것이다. 2억원이면 일반인도 수많은 셰르파와 장비들의 도움으로 세계 최고봉 에베레스트에 등정시키는 상업 등반이 설치는 판이다. 알파인 방식을 고집한 김 대장과 그 팀의 비보가 안타까운 이유다.
김성곤 논설위원 sunggone@seoul.co.kr
2018-10-15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