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키히토(84) 일왕은 한·일 월드컵을 목전에 둔 2001년 12월 기자회견에서 한국을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이렇게 대답한다. “일본과 한국 사이에 깊은 교류가 있었던 것은 ‘일본서기’ 등에 자세히 기록돼 있다. 궁내청(왕실을 관리하는 정부 조직) 악사 중에는 이주자 후손으로 지금도 대대로 아악을 연주하는 사람이 있다. 나 자신, 간무 일왕의 생모가 백제 무령왕의 자손이라고 ‘속일본기’에 기록돼 있는 것에 한국과의 인연을 느낀다. 무령왕의 아들 성명왕은 불교도 전했다고 한다. (중략) 그러나 안타깝게도 한국과의 교류는 이런 것만은 아니었다. 이 사실을 우리는 잊어선 안 된다.”
아키히토 일왕이 안타깝게 여긴 또 다른 교류는 16세기 말 일본의 두 차례 조선 침략, 특히 20세기 조선 강점으로 추정할 수 있다. 그가 패전기념일인 그제 ‘전국 전몰자 추도식’에서 “과거를 돌아보고, 깊은 반성을 하는 동시에 전쟁의 참화가 다시 되풀이되지 않도록 절실히 기원한다”고 말했다. 이런 언급은 일제의 여러 전쟁과 함께 ‘인연을 느끼는’ 한반도를 보는 복잡한 감정의 표출일 것이다. 4년째 같은 행사에서 ‘깊은 반성’이란 표현을 쓴 그이지만, 그제가 마지막 추도식 참석이었다.
내년 4월 30일이면 살아 있을 때 왕위를 내려놓는 ‘생전 퇴위’를 한다. 아키히토는 건강 때문에 공무를 제대로 수행할 수 없다고 퇴위를 타진했다. 하지만 아베 신조 총리의 반대에 부딪혀 뜻을 이루지 못하다가 2016년 8월 TV에서 직접 밝히면서 급물살을 탔다. NHK의 여론조사에서 84.4.%의 압도적인 지지로 국민이 찬성했다. 아베 정부도 어쩔 수 없이 생전 퇴위의 제도화를 바라는 왕실의 뜻과 달리 1회에 한해 용인하는 쪽으로 법제화했다.
반전의 상징이자 현행 헌법을 ‘평화와 민주주의를 지켜야 할 소중한 것’이라고 말하는 아키히토 일왕이 개헌을 일생일대의 숙원으로 여기는 아베 총리에겐 눈엣가시일 것이다. 아키히토 일왕 부부가 지난해 7월 고마(高麗)신사를 방문한다고 하자 우익세력은 일왕을 ‘반일좌파’라고 비난한 바 있다. 이 신사는 1300년 전 도쿄 인근의 사이타마 지방으로 이주한 고구려인 약광이 만든 것으로 한반도와 인연이 깊다.
1989년 헤이세이(平成) 시대를 연 아키히토는 노태우 전 대통령의 방일 때 식민지배에 대해 ‘통석의 염’이란 표현을 써 사과한 바 있다. 2005년 사이판 방문 때는 한국인 전몰자 위령탑을 찾았다. 그의 퇴장이 일본 사회와 한·일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예측하기 어렵다. 이낙연 총리가 현 일왕의 방한을 요망한 적이 있지만, 일본 정부가 승인할 리가 없어 차기 일왕인 나루히토 왕세자에게나 기대해 볼 일이다.
marry04@seoul.co.kr
내년 4월 30일이면 살아 있을 때 왕위를 내려놓는 ‘생전 퇴위’를 한다. 아키히토는 건강 때문에 공무를 제대로 수행할 수 없다고 퇴위를 타진했다. 하지만 아베 신조 총리의 반대에 부딪혀 뜻을 이루지 못하다가 2016년 8월 TV에서 직접 밝히면서 급물살을 탔다. NHK의 여론조사에서 84.4.%의 압도적인 지지로 국민이 찬성했다. 아베 정부도 어쩔 수 없이 생전 퇴위의 제도화를 바라는 왕실의 뜻과 달리 1회에 한해 용인하는 쪽으로 법제화했다.
반전의 상징이자 현행 헌법을 ‘평화와 민주주의를 지켜야 할 소중한 것’이라고 말하는 아키히토 일왕이 개헌을 일생일대의 숙원으로 여기는 아베 총리에겐 눈엣가시일 것이다. 아키히토 일왕 부부가 지난해 7월 고마(高麗)신사를 방문한다고 하자 우익세력은 일왕을 ‘반일좌파’라고 비난한 바 있다. 이 신사는 1300년 전 도쿄 인근의 사이타마 지방으로 이주한 고구려인 약광이 만든 것으로 한반도와 인연이 깊다.
1989년 헤이세이(平成) 시대를 연 아키히토는 노태우 전 대통령의 방일 때 식민지배에 대해 ‘통석의 염’이란 표현을 써 사과한 바 있다. 2005년 사이판 방문 때는 한국인 전몰자 위령탑을 찾았다. 그의 퇴장이 일본 사회와 한·일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예측하기 어렵다. 이낙연 총리가 현 일왕의 방한을 요망한 적이 있지만, 일본 정부가 승인할 리가 없어 차기 일왕인 나루히토 왕세자에게나 기대해 볼 일이다.
marry04@seoul.co.kr
2018-08-17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