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전문가들은 장마당을 통해 중국에서 이 손풍기를 들여왔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장마당은 1994년 김일성 사후 ‘고난의 행군’ 시절에 국가 배급체계가 붕괴되면서 주민들이 스스로 만들어 낸 사실상의 시장경제다. 북한 당국이 인정한 것만 해도 올해 2월 기준으로 장마당이 480여개에 이르고, 상인·관리자 등 관련 종사자들은 100만명을 훌쩍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시장의 규모도 매년 커져 과거 100평이라고 한다면 지금은 500평짜리도 있다고 한다. 중국에서 건너온 나이키, 아디다스 등 브랜드 의류와 ‘짝퉁’(가짜) 제품도 장마당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다. 최근 들어 장마당에서는 40여 가지의 북한산 담배와 여러 가지 ‘미안막’(마스크팩)이 날개 돋친 듯 판매되고 있다고 한다.
장마당은 1990년대 이후 주민들의 필요에 의해 시장으로 거듭났다. 특히 김정은 정권이 들어선 이후 북한 경제와 사회 변화의 도화선 역할을 하고 있다. 북한 연구가들은 공인된 종합시장(장마당)을 비롯해 골목시장, 야시장 등 갖가지 시장이 북한 주민들 생활 수요의 80~90%를 해결하고 수입의 3분의2 이상을 벌어들인다고 보고 있다. 북한 김정은 정권이 대북 제재로 타격을 받고 있음에도 주민들이 ‘제2의 고난의 행군’을 겪지 않는 것은 장마당 경제 때문이라는 분석도 있다.
장마당은 ‘뉴스의 허브’ 역할도 한다. 예전엔 북한 전역에 민감한 소식이 알려지는 데 한 달 정도 걸렸지만 요즘은 장마당을 통해 2~3일이면 퍼진다. 이 때문에 북한 당국은 2009년 1월 장마당을 폐쇄했다가 5개월 만에 주민들의 거센 반대로 다시 허용했다. 정보 확산의 파장이 두렵긴 해도 배급체계가 붕괴된 상황에서 장마당을 없앨 수도 없는 처지다.
결국 김정은 정권은 장마당을 통해 경제 개방과 경제 활성화를 꾀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평양 시민이 손에 든 헬로키티 손풍기는 개방의 상징물이다. 북한이 비핵화로 얻을 수 있는 과실의 맛보기인 셈이다.
이종락 논설위원 jrlee@seoul.co.kr
2018-07-31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