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재 정권 시절 감옥에서 검열을 거치지 않고 교도관 등을 통해 몰래 밖으로 편지를 보내는 것을 ‘비둘기를 날린다’고 했다. 1975년 김지하의 ‘양심선언’, 1987년 이부영의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의 범인이 조작됐다’는 내용이 바깥세상에 전해질 수 있었던 것도 ‘비둘기 통신’ 덕분이었다. 서신 검열은 2012년 2월 헌법재판소가 교도소의 서신 검열 제도에 대해 위헌 결정을 내리기 전까지 계속됐다.
서신 검열은 대표적인 사상 검열 중 하나다. 검열의 원조격은 소련의 스탈린이다. 스탈린은 비밀 경찰, 극단적인 언론 통제를 통해 소련을 ‘강철 제국’으로 만들었다. 보리스 파스테르나크의 소설 ‘닥터 지바고’도 스탈린 체제를 비판해 당국의 검열을 통과하지 못해 어둠 속에 묻힐 뻔했으나 이탈리아 공산주의자들이 서방으로 원고를 빼돌린 덕분에 1958년 노벨문학상 수상의 영예를 안게 됐다.
세상이 빛의 속도로 바뀌고 있지만 검열은 지금도 세계 곳곳에서 자행되고 있다. 중국은 영화나 방송 등을 검열할 뿐 아니라 인터넷까지 검열한다. 인터넷을 검열하는 인원만 100만명이 넘는다고 한다. ‘톈안먼 사태’, ‘원자바오 부정축재’, ‘재스민 혁명’ 등의 표현은 아예 인터넷에서 차단된다. 네티즌들이 톈안먼 사태의 상징이 된 늘어선 탱크들 앞에 서 있는 학생의 사진에 ‘노란색 대형 오리’라는 표현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검열을 피하려 했지만 중국 정부는 용케 알고 차단했다.
정보를 통제하던 중국이 이제 사람의 ‘머릿속’까지 감시한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가 최근 보도했다. 이 보도에 따르면 통신장비를 생산하는 중국의 한 기업 노동자들은 아주 작은 무선 센서가 부착된 모자를 쓰고 일한다. 이 센서는 노동자들의 뇌파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인공지능(AI)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컴퓨터로 보내 뇌파를 분석해 노동자의 걱정, 불안, 분노 등 감정 변화를 읽는다. 회사 측은 이 결과를 활용해 생산 속도 등을 조절해 작업 능률을 높인다.
센서 모자는 베이징~상하이 구간 고속철을 운행하는 기관사들도 쓴다고 한다. ‘뇌 감시’ 연구는 선진국에서도 하고 있지만 실제 산업 현장에 적용된 것은 중국이 처음이다. 차오젠 베이징사범대 교수는 “이러한 기술은 기업이 노동자의 감정을 통제하고 사생활을 침해하는 데 쓰여 ‘감정 경찰’로 변질할 우려가 있다”며 관련 규제의 필요성을 지적했다.
소설 ‘1984’에서 ‘빅브러더’, ‘사상 경찰’을 내세워 인간의 존엄성과 자유를 박탈하는 전체주의를 비판한 조지 오웰도 센서 모자는 상상하지 못했을 것이다.
최광숙 논설위원 bori@seoul.co.kr
세상이 빛의 속도로 바뀌고 있지만 검열은 지금도 세계 곳곳에서 자행되고 있다. 중국은 영화나 방송 등을 검열할 뿐 아니라 인터넷까지 검열한다. 인터넷을 검열하는 인원만 100만명이 넘는다고 한다. ‘톈안먼 사태’, ‘원자바오 부정축재’, ‘재스민 혁명’ 등의 표현은 아예 인터넷에서 차단된다. 네티즌들이 톈안먼 사태의 상징이 된 늘어선 탱크들 앞에 서 있는 학생의 사진에 ‘노란색 대형 오리’라는 표현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검열을 피하려 했지만 중국 정부는 용케 알고 차단했다.
정보를 통제하던 중국이 이제 사람의 ‘머릿속’까지 감시한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가 최근 보도했다. 이 보도에 따르면 통신장비를 생산하는 중국의 한 기업 노동자들은 아주 작은 무선 센서가 부착된 모자를 쓰고 일한다. 이 센서는 노동자들의 뇌파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인공지능(AI)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컴퓨터로 보내 뇌파를 분석해 노동자의 걱정, 불안, 분노 등 감정 변화를 읽는다. 회사 측은 이 결과를 활용해 생산 속도 등을 조절해 작업 능률을 높인다.
센서 모자는 베이징~상하이 구간 고속철을 운행하는 기관사들도 쓴다고 한다. ‘뇌 감시’ 연구는 선진국에서도 하고 있지만 실제 산업 현장에 적용된 것은 중국이 처음이다. 차오젠 베이징사범대 교수는 “이러한 기술은 기업이 노동자의 감정을 통제하고 사생활을 침해하는 데 쓰여 ‘감정 경찰’로 변질할 우려가 있다”며 관련 규제의 필요성을 지적했다.
소설 ‘1984’에서 ‘빅브러더’, ‘사상 경찰’을 내세워 인간의 존엄성과 자유를 박탈하는 전체주의를 비판한 조지 오웰도 센서 모자는 상상하지 못했을 것이다.
최광숙 논설위원 bori@seoul.co.kr
2018-05-04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