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청와대 ‘경주 석불’/서동철 논설위원

[씨줄날줄] 청와대 ‘경주 석불’/서동철 논설위원

서동철 기자
서동철 기자
입력 2018-04-15 22:24
수정 2018-04-15 23:2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934년 3월 29일자 매일신보는 ‘석가여래상의 미남석불, 즐풍욕우(櫛風浴雨) 참아 가며 총독 관저 대수하(大樹下)에’라는 제목의 기사를 실었다. ‘대수하’는 큰 나무 아래, ‘즐풍욕우’는 바람으로 머리를 빗고, 비로 몸을 씻는다는 뜻이니 비바람에 노출되어 있음을 안타까워하고 있다. 지난주 보물 제1977호로 지정된 ‘청와대 석불좌상’이다. 크기만 작을 뿐 경주 석굴암 본존불과 매우 닮아 있다.
기사는 “이 불상은 경주 골짜기에 안치돼 있던 것인데 지금 풍우에 시달리고 있다는 것은 너무도 애석해 견딜 수가 없다”는 총독부박물관 관계자의 말을 인용하고 있다. “박물관에서는 불상을 가져왔으면 하고 있으나 이미 총독 관저의 물건이 된 이상 마음대로 할 수 없는 형편이므로, 총독의 허가를 얻어 박물관에 진열해 보려고 희망하는 중”이라는 것이다.

석불좌상이 서울 남산 자락의 왜성대(倭城臺) 총독 관저 경내로 옮겨진 것은 1913년 2월이다. 데라우치 마사타케 총독이 불상의 개안식(開眼式)을 갖는 장면을 찍은 사진이 남아 있어 알 수 있다. 앞서 불상은 데라우치의 환심을 사려는 경주금융조합의 일본인 임원에 의해 1912년 11월 경주에서 몰래 반출됐다.

매일신보의 기사 분위기나 총독부박물관 관계자의 발언 내용을 보면 당시에도 중요한 통일신라시대 문화유산이 총독 관저로 옮겨져 아무런 보호도 받지 못한 채 훼손되고 있는 상황을 부적절한 일로 인식하고 있었던 듯하다. 불상은 1939년 지금의 청와대 자리에 총독 관저가 새로 지어지면서 이전되어 오늘에 이른다.

오늘날 ‘이 불상은 어디에 있어야 하는가’라는 문제를 푸는 것은 간단치 않다. 당연히 경주 지역에서는 석불좌상을 원래 있던 자리로 돌려보내야 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불상이 구체적으로 경주 어디에 있었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불교계는 통일된 목소리를 내지 못하고 있다. 청와대에 특정 종교의 예배 대상이 존재한다는 사실 자체에 반감을 갖고 다른 종교단체가 이전을 촉구했을 때는 완강하게 “현재 위치 고수”를 외쳤으니 말을 바꾸기도 쉽지는 않을 것이다.

문화재위원회는 불상의 공식 명칭을 ‘경주 방형대좌 석조여래좌상’이라 붙였다. 팔각형대좌가 유행한 통일신라시대 불상으로는 드물게 방형대좌, 곧 네모난 대좌를 가졌다는 양식적 특징을 알려 준다. 고려시대 유행한 방형대좌를 가졌으니 그 유행의 시원에 해당한다는 학술적 가치를 부각시킨 것이다. 무엇보다 ‘경주’를 넣은 것은 우선 불상의 고향을 찾아 주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dcsuh@seoul.co.kr
2018-04-16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