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한 살 소녀는 폭도가 뭔지 토벌대가 뭔지 하나도 이해할 수 없었다. 1948년 11월 어느 날, 마을의 집들이 불타고 이웃 사람들이 끌려가 돌아오지 않았다. 남은 이들은 살기 위해 도망쳤다. 엄동설한에 뒷산 동굴로 숨어든 주민 120여명은 빛 한 조각 들어오지 않는 어둠과 죽음의 공포 속에서 50여일을 버텼다. 포위망이 좁혀오자 주민들은 동굴 밖으로 나와 더 깊은 산중으로 도망치다 눈밭에 난 발자국을 따라온 토벌대에 붙잡혀 대다수가 목숨을 잃었다. 소녀는 다행히 살아남았지만 아주 오랫동안 그때 일을 누구에게도 말할 수 없었다.
홍춘호(81) 할머니는 제주 4·3사건을 다룬 영화 ‘지슬’의 배경인 서귀포시 안덕면 동광리 무등이왓 마을 초토화 작전의 생존자이다. 무등이왓은 당시 폐허가 된 이후 사람이 살지 않는 폐촌, ‘잃어버린 마을’이 됐다. 지금은 무등이왓의 해설사로 그때의 끔찍한 기억들을 어제 일처럼 생생히 증언하고 있지만 홍 할머니가 자식에게조차 꺼내지 못했던 응어리를 입 밖에 토해내기 시작한 건 불과 10년도 안 됐다. 할머니는 “오래 살다 보니 옛날 얘기를 할 수 있어서 좋다”며 환하게 웃었다. 수십 년간 남모르게 피멍이 들었을 세월의 무게가 아프게 다가왔다.
4·3은 홍 할머니뿐 아니라 한국 사회에서 오랫동안 금기의 역사였다. 군사정권 아래서 ‘공산폭동’으로 핍박받다가 1987년 민주화운동에 힘입어 40년 만에 재조명 움직임이 일어났다. 2000년에 이르러서야 ‘제주 4·3 진상 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됐고, 2003년 진상조사보고서 발간과 노무현 당시 대통령의 공식 사과가 이어졌지만 제주도민과 공동체가 입은 상처와 후유증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올해 4·3 70주년을 맞아 제주도와 4·3유족회 등 시민단체들이 동백꽃 배지 달기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배우 정우성·안성기, 가수 장필순 등 유명 인사들이 앞장서면서 품귀 현상까지 빚어지고 있다고 한다. 매서운 겨울바람을 뚫고 강렬한 붉은 꽃을 피우는 동백은 4월이 되면 꽃잎이 시들기도 전에 통째로 낙화해 스러진다. 강요배 화가가 1992년 4·3 기록화 전시에 ‘동백꽃 지다’라는 제목을 붙이면서 4·3을 상징하는 꽃으로 여겨져 왔다.
홍 할머니 가슴에도 동백꽃 한 송이가 피어 있었다. 4·3의 진상을 온전히 규명하고, 공동체를 복원하는 일은 이제 시작에 불과하다. 아무리 오래 걸리더라도 미뤄 둘 수 없는 일이다. 그때까지 우리가 해야 할 일은 홍 할머니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고, 아픔을 위로하는 것이리라.
coral@seoul.co.kr
4·3은 홍 할머니뿐 아니라 한국 사회에서 오랫동안 금기의 역사였다. 군사정권 아래서 ‘공산폭동’으로 핍박받다가 1987년 민주화운동에 힘입어 40년 만에 재조명 움직임이 일어났다. 2000년에 이르러서야 ‘제주 4·3 진상 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됐고, 2003년 진상조사보고서 발간과 노무현 당시 대통령의 공식 사과가 이어졌지만 제주도민과 공동체가 입은 상처와 후유증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올해 4·3 70주년을 맞아 제주도와 4·3유족회 등 시민단체들이 동백꽃 배지 달기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배우 정우성·안성기, 가수 장필순 등 유명 인사들이 앞장서면서 품귀 현상까지 빚어지고 있다고 한다. 매서운 겨울바람을 뚫고 강렬한 붉은 꽃을 피우는 동백은 4월이 되면 꽃잎이 시들기도 전에 통째로 낙화해 스러진다. 강요배 화가가 1992년 4·3 기록화 전시에 ‘동백꽃 지다’라는 제목을 붙이면서 4·3을 상징하는 꽃으로 여겨져 왔다.
홍 할머니 가슴에도 동백꽃 한 송이가 피어 있었다. 4·3의 진상을 온전히 규명하고, 공동체를 복원하는 일은 이제 시작에 불과하다. 아무리 오래 걸리더라도 미뤄 둘 수 없는 일이다. 그때까지 우리가 해야 할 일은 홍 할머니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고, 아픔을 위로하는 것이리라.
coral@seoul.co.kr
2018-03-26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