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군기무사령부의 ‘세심(洗心) 의식’이 입방아에 오르내리고 있다. 엊그제 이석구 사령관을 비롯한 기무사의 장성들은 국립현충원에서 정치적 중립 준수 선포식을 하면서 손을 씻는 의식을 가졌다. ‘洗心水’(세심수)라고 큼직하게 써 붙인 수조의 물로 손을 씻었다. 정치 개입 같은 구태를 뉘우치고 되풀이하지 않겠다는 의미로 행사를 마련했다고 한다.
물로 손이나 몸을 씻는 행위는 예부터 마음을 깨끗이 한다는 상징으로 각종 의식에 널리 차용됐다. 기독교의 ‘세례’(洗禮)를 뜻하는 그리스어 ‘밥티스마’도 ‘담그다’ ‘씻다’란 동사에서 파생된 명사라고 한다. 관수(灌水)세례나 주수(注水)세례, 침례(浸禮) 등의 의식도 물을 붓거나 뿌리고 몸을 담그는 기독교 의식이다. 기독교뿐만 아니라 불교나 이슬람교 등 많은 종교에서 물은 정화와 생명의 상징으로, 새로 태어남이나 재생을 의미한다.
손을 씻는다는 말의 뜻은 다층적이다. 사람은 밥을 먹거나 세수를 하고, 업무를 보는 등 모든 일에 손을 사용한다. 어느 것 하나 손 없이 이루어지기 어렵다. 타인을 위한 선행을 하기 위해서도 손은 필수적이다. 한데 역설적이게도 손을 씻는다는 말은 부정함이나 더러움과의 결별 의미로 더 많이 쓰인다. 그만큼 나쁜 짓을 하는 데 손을 많이 사용하기 때문인 듯싶다. ‘손을 끊다’ ‘손을 떼다’ ‘손을 빼다’ ‘손을 털다’ 등 손이 들어간 말이 많은 것만 보아도 그렇다.
세심은 청렴함을 중요하게 여긴 우리 선조가 애용한 단어다. 세심정, 세심재, 세심대, 세심당 등 전국의 정자나 연못, 누각은 물론 서재 이름으로 앞다퉈 쓸 정도였다. 세심이란 단어는 주역의 계사상전 편 ‘성인 이차세심’(聖人 以此洗心)이란 구절에 나온다. 성인이 되려면 재물을 탐하고 권력에 아부하는 부정적 속성 즉 더러운 마음을 씻어 내야 한다는 의미다.
마음이 눈에 보이지 않으니 대신 손이나 몸을 씻는 의식으로서 많은 세수식, 세심식이 행해졌다고 볼 수 있다. 어찌 보면 태생적으로 ‘보여 주기’ 이벤트 성격이 짙다. 기무사는 인터넷 댓글부대 운영과 정치공작을 한 사실이 드러나 코너에 몰려 있다. 무언가 눈에 띄는 이벤트로 적폐청산 의지를 보여 주고 싶었을 것이다. 그러나 손을 씻는다고 수십년 구태가 벗겨질까. 3년 전쯤 강원랜드 경영진이 지역 주민들과 협력사 대표들이 보는 가운데 윤리경영을 다짐하는 세수식을 가진 적이 있다. 그런 강원랜드가 요즘 역대급 부정 채용으로 지탄받고 있다. 세심은 한 번의 이벤트로 보여 줄 수 없다. 오랜 시간 실천으로 드러낼 수 있을 뿐이다.
sdragon@seoul.co.kr
손을 씻는다는 말의 뜻은 다층적이다. 사람은 밥을 먹거나 세수를 하고, 업무를 보는 등 모든 일에 손을 사용한다. 어느 것 하나 손 없이 이루어지기 어렵다. 타인을 위한 선행을 하기 위해서도 손은 필수적이다. 한데 역설적이게도 손을 씻는다는 말은 부정함이나 더러움과의 결별 의미로 더 많이 쓰인다. 그만큼 나쁜 짓을 하는 데 손을 많이 사용하기 때문인 듯싶다. ‘손을 끊다’ ‘손을 떼다’ ‘손을 빼다’ ‘손을 털다’ 등 손이 들어간 말이 많은 것만 보아도 그렇다.
세심은 청렴함을 중요하게 여긴 우리 선조가 애용한 단어다. 세심정, 세심재, 세심대, 세심당 등 전국의 정자나 연못, 누각은 물론 서재 이름으로 앞다퉈 쓸 정도였다. 세심이란 단어는 주역의 계사상전 편 ‘성인 이차세심’(聖人 以此洗心)이란 구절에 나온다. 성인이 되려면 재물을 탐하고 권력에 아부하는 부정적 속성 즉 더러운 마음을 씻어 내야 한다는 의미다.
마음이 눈에 보이지 않으니 대신 손이나 몸을 씻는 의식으로서 많은 세수식, 세심식이 행해졌다고 볼 수 있다. 어찌 보면 태생적으로 ‘보여 주기’ 이벤트 성격이 짙다. 기무사는 인터넷 댓글부대 운영과 정치공작을 한 사실이 드러나 코너에 몰려 있다. 무언가 눈에 띄는 이벤트로 적폐청산 의지를 보여 주고 싶었을 것이다. 그러나 손을 씻는다고 수십년 구태가 벗겨질까. 3년 전쯤 강원랜드 경영진이 지역 주민들과 협력사 대표들이 보는 가운데 윤리경영을 다짐하는 세수식을 가진 적이 있다. 그런 강원랜드가 요즘 역대급 부정 채용으로 지탄받고 있다. 세심은 한 번의 이벤트로 보여 줄 수 없다. 오랜 시간 실천으로 드러낼 수 있을 뿐이다.
sdragon@seoul.co.kr
2018-01-27 23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