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용산 땅 쟁탈전/서동철 논설위원

[씨줄날줄] 용산 땅 쟁탈전/서동철 논설위원

서동철 기자
서동철 기자
입력 2017-12-03 17:38
수정 2017-12-03 18:0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박물관이나 미술관, 공연장 같은 대형 문화공간의 입지를 정할 때 많은 사람이 쉽게 찾아올 수 있는 위치인가는 물론 중요하다. 그런데 대형 문화공간이란 비(非)문화적이거나 무(無)문화적인 주변 지역을 문화적으로 탈바꿈시킬 수 있는 강력한 파급력을 갖는다는 사실 또한 간과하면 안 된다.
2005년 용산으로 이전한 국립중앙박물관은 남쪽이 철길로 가로막힌 동부이촌동 아파트 단지다. 동·북·서쪽은 미군기지가 자리 잡고 있다. 주변 지역에 문화적 파급 효과를 발휘할 여지가 없다. 미군이 떠난 뒤에도 생태녹지로 조성된다니 상황은 크게 달라지지 않을 것이다.

그럼에도 문화공간 부지로 탐내는 사람들은 많다. 2014년에는 국립한글박물관이 중앙박물관 바로 곁에서 문을 열었다. 경복궁 내부에 자리 잡고 있는 만큼 외부로 나가는 것이 불가피한 국립민속박물관도 벌써 몇 년째 그 옆자리 이전 가능성을 타진해 왔다. 대형 문화시설이 들어설 부지를 서울 시내에서는 더이상 찾을 수 없는 현실이 반영됐을 것이다.

앞서 새 정부는 민속박물관의 세종시 이전 계획을 밝혔다. 민속박물관의 용산 이전을 희망하는 민속학계는 반발하지만, 진보 정부가 일관되게 추진하는 균형 발전 측면이라면 이해할 수도 있다.

개인적으로 민속박물관의 체험 및 교육 기능은 세종시로 이전해도, 서울 중심부에 그리 넓지는 않더라도 ‘한반도생활사관’ 같은 전시 기능을 분리 이전해 외국인 관광객 수요에 대응하는 것도 한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시내 중심부지만 문화적으로 낙후된 지역이라면 파급효과는 더욱 커진다. 새로운 문화공간은 커야 한다는 강박관념에서만 벗어나면 된다.

그런데 문화체육관광부는 최근 “자문기구인 문학진흥정책위원회가 용산 땅을 국립한국문학관 건립 부지로 의결, 건의했다”고 발표했다. 지방자치단체 사이에 과열 유치 경쟁이 빚어졌던 것도 그만큼 의미 있는 문화공간이기 때문일 것이다. 정부가 어느 때보다 의지를 갖고 한국문학관 건립을 추진하는 것을 환영한다.

하지만 정책 논리의 일관성도 필요하다. 한국문학관이 중요하면 ‘행정수도 개헌’이 추진되고 있는 세종시가 더 적지(適地) 아니냐는 민속학계의 주장에 어떤 대답을 내놓을지 궁금하다. 한국문학관을 서울에 세우는 것을 당연히 반대하지 않는다. 하지만 민속박물관이 꼭 용산에 가야 하는 것이 아니듯 한국문학관도 꼭 용산일 필요는 없다. 결론이 어떻든 정책적 근거가 뚜렷하지 않다면 반대하는 사람들을 설득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dcsuh@seoul.co.kr
2017-12-04 27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북특별자치도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가능할까?
전북도가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도전을 공식화했습니다. 전북도는 오래전부터 유치를 준비해 왔다며 자신감을 보였지만 지난해 ‘세계잼버리’ 부실운영으로 여론의 뭇매를 맞은 상황이라 유치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도 있습니다. 전북도의 올림픽 유치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가능하다
불가능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