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새만금 간척지가 2023년 열리는 제25회 세계잼버리대회 개최지로 확정됐다는 소식이다. 1991년 강원 고성에서 제17회 대회를 개최한 이후 32년 만에 열릴 대회 유치다. 최근 세계잼버리대회에는 140~160개국에서 3만~4만명의 스카우트가 참여했다. 2019년 미국 버지니아에서 열리는 제24회 대회와 새만금대회는 5만명 참여를 목표로 하고 있다.
세계잼버리대회란 한마디로 세계 스카우트들이 각자 준비한 텐트로 하나의 도시를 이루어 소통하면서 친선을 다지는 행사라고 할 수 있다. 각국의 미래를 짊어진 14~18세 청소년이 참여하는 만큼 이 자리에서 다져진 이해와 우정은 미래 세계 평화에 기여하는 것은 물론이다. 더불어 대회를 치르는 국가와 해당 지역은 유무형의 파급 효과를 누리게 된다.
마침 2022년은 한국스카우트연맹이 ‘조선소년군’과 ‘소년척후대’로 출범한 지 100주년을 맞는 해다. 이듬해 열리는 세계잼버리대회는 한국 스카우트 운동이 재도약하는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글로벌 자유무역의 중심지’ 조성을 앞당길 절호의 기회가 마련됐다는 기대 또한 크게 높아졌다고 할 수 있다.
새만금은 ‘단군 이래 최대의 간척사업’이라고 한다. 33.9㎞의 방조제는 세계 최장으로 ‘기네스북’에 올랐다. 이렇게 만들어진 291㎢의 토지와 118㎢의 담수호는 국민 한 사람에게 9.9㎡씩 나누어 줄 수 있는 규모라고도 한다. 역설적으로 새만금은 ‘단군 이래 최대의 자연 파괴 사업’이자 ‘세계 최장의 해안선 파괴 사업’이었다. 1971년 예정지 조사가 시작된 새만금 사업은 환경의 가치가 존중되기 시작한 이후였다면 현실화되기 어려웠다.
그럼에도 새만금을 국제적 성격의 첨단 산업도시로 개발하겠다는 새만금개발청과 전라북도의 의지는 존중되어야 한다. 그럴수록 오늘보다는 내일을 생각하는 잼버리대회를 유치한 의미는 각별하다. 산업만 남고 인간이 사라진 황량한 신개발지가 아니라 인간과 자연이 조화를 이루는 신개념 친환경 도시가 되도록 개발 패러다임을 전환하라는 계시다.
1991년 고성 대회의 캐치프레이즈는 ‘세계는 하나’였다. 그런대로 무난한 구호였지만 2023년 새만금대회 구호에는 분명한 메시지를 담으면 좋겠다. 간척지에서 열리는 만큼 ‘인간이 파괴한 자연에 대한 속죄’는 어떨까 싶다. 장황하다면 ‘자연에 대한 속죄’로 줄여도 좋다. 잘못을 되풀이하지 않겠다는 약속이기도 하다. ‘새만금 자유무역 도시’를 이렇게 인간친화적, 자연친화적 자세로 가꾸어 갈 때 글로벌 기업의 관심도 높아질 것이다.
마침 2022년은 한국스카우트연맹이 ‘조선소년군’과 ‘소년척후대’로 출범한 지 100주년을 맞는 해다. 이듬해 열리는 세계잼버리대회는 한국 스카우트 운동이 재도약하는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글로벌 자유무역의 중심지’ 조성을 앞당길 절호의 기회가 마련됐다는 기대 또한 크게 높아졌다고 할 수 있다.
새만금은 ‘단군 이래 최대의 간척사업’이라고 한다. 33.9㎞의 방조제는 세계 최장으로 ‘기네스북’에 올랐다. 이렇게 만들어진 291㎢의 토지와 118㎢의 담수호는 국민 한 사람에게 9.9㎡씩 나누어 줄 수 있는 규모라고도 한다. 역설적으로 새만금은 ‘단군 이래 최대의 자연 파괴 사업’이자 ‘세계 최장의 해안선 파괴 사업’이었다. 1971년 예정지 조사가 시작된 새만금 사업은 환경의 가치가 존중되기 시작한 이후였다면 현실화되기 어려웠다.
그럼에도 새만금을 국제적 성격의 첨단 산업도시로 개발하겠다는 새만금개발청과 전라북도의 의지는 존중되어야 한다. 그럴수록 오늘보다는 내일을 생각하는 잼버리대회를 유치한 의미는 각별하다. 산업만 남고 인간이 사라진 황량한 신개발지가 아니라 인간과 자연이 조화를 이루는 신개념 친환경 도시가 되도록 개발 패러다임을 전환하라는 계시다.
1991년 고성 대회의 캐치프레이즈는 ‘세계는 하나’였다. 그런대로 무난한 구호였지만 2023년 새만금대회 구호에는 분명한 메시지를 담으면 좋겠다. 간척지에서 열리는 만큼 ‘인간이 파괴한 자연에 대한 속죄’는 어떨까 싶다. 장황하다면 ‘자연에 대한 속죄’로 줄여도 좋다. 잘못을 되풀이하지 않겠다는 약속이기도 하다. ‘새만금 자유무역 도시’를 이렇게 인간친화적, 자연친화적 자세로 가꾸어 갈 때 글로벌 기업의 관심도 높아질 것이다.
2017-08-18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