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증도가자보다 중요한 것/서동철 논설위원

[씨줄날줄] 증도가자보다 중요한 것/서동철 논설위원

서동철 기자
서동철 기자
입력 2017-04-14 17:58
수정 2017-04-14 18:0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충북 청주는 잘 알려진 것처럼 최고(最古)의 금속활자본인 ‘직지’(直指)의 고향이다.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白雲和尙抄錄佛祖直指心體要節), 줄여서 ‘직지’는 1377년 청주 흥덕사에서 간행됐다. ‘직지’는 두 권으로 이루어졌지만 상권은 전하지 않고, 하권만 프랑스국립도서관이 소장하고 있다.
세계 금속활자의 중심지답게 청주에는 고인쇄박물관이 있다. 전시실에는 당연히 ‘직지’가 앞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직지’는 2001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됐다. 고인쇄박물관의 ‘직지와 흥덕사실(室)’에는 복원한 금속활자와 활자판, 그리고 ‘직지’의 영인본이 있다.

증도가자(證道歌字)도 만날 수 있다. ‘남명천화상송증도가’(南明泉和尙頌證道歌)를 찍어낸 금속활자다. 당나라 승려 현각이 남종선(南宗禪)의 개창자인 육조 혜능으로부터 깨우친 도(道)의 경지를 설파한 ‘증도가’의 구절을 송나라의 남명 법천 선사가 해설한 책이다. 초간본이 1076년 중국에서 간행됐는데, 고려는 이 책을 수입해 금속활자로 찍어냈다.

하지만 이 금속활자본은 활자도, 책도 전하지 않아 누가·언제·어디에서 찍어냈는지 알 수 없다. 다만 1239년 목판으로 다시 새긴 번각본이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고려시대 문인 최이는 책 말미에 ‘참선을 배우려는 사람은 누구나 이 책으로 입문하고 높은 경지에 이른다. 그런데도 전래가 끊겼으니 각공(刻工)을 모아 주자본(鑄字本)을 바탕으로 다시 판각하여 길이 전하게 한다’고 적었다.

2010년 고려가 처음 ‘증도가’를 인쇄하는 데 썼다는 금속활자 12점이 모습을 보였으니 놀라운 일이었다. ‘직지’의 연대를 훨씬 뛰어넘는 금속활자라면 인쇄 문화의 역사를 다시 써야 할 세계적 사건이 아닐 수 없다. 하지만 진짜라는 주장에도 불구하고 가짜라는 목소리도 높았다.

문화재위원회가 그제 증도가자를 국가지정문화재인 보물로 지정할 것인지를 가리는 동산문화재분과 회의에서 ‘부결’로 최종 결론을 내렸다. “활자의 진위, 먹의 위조 가능성, 분석의 적절성 등 끊임없이 의문이 제기되며 많은 논란이 있었다”는 문화재청의 설명이 뒤따랐다.

고인쇄박물관으로 돌아가 조선시대 전시실을 보자. 조선은 1403년 주자소(鑄字所)를 설치하고 계미자를 만들었다. 경자자(1420)와 갑인자(1434)도 구텐베르크 금속활자보다 앞선다. 그러니 ‘직지’만 고집할 것도, 증도가자에 목을 맬 것도 아니다. 이참에 일찍부터 금속활자가 얼마나 폭넓게 활용되어 지식 전파에 중요한 역할을 했는지 세계에 알려야 한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2017-04-15 23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북특별자치도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가능할까?
전북도가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도전을 공식화했습니다. 전북도는 오래전부터 유치를 준비해 왔다며 자신감을 보였지만 지난해 ‘세계잼버리’ 부실운영으로 여론의 뭇매를 맞은 상황이라 유치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도 있습니다. 전북도의 올림픽 유치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가능하다
불가능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