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농경 사회의 소 전염병/서동철 논설위원

[씨줄날줄] 농경 사회의 소 전염병/서동철 논설위원

서동철 기자
서동철 기자
입력 2017-02-14 20:56
수정 2017-02-14 20:5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소는 오늘날 고기와 유제품의 중요한 공급원으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농경 사회에서는 논과 밭을 갈고, 곡식을 운반하는 데 없어서는 안 될 요소였다. 특히 영양분의 대부분을 곡식에서 섭취한 아시아인에게 소는 가족만큼 소중한 존재였다. 일찍부터 인구 밀도가 높았던 인도에서 불교가 태동한 것도 소의 도살 때문이라는 학계 연구도 있다. 고대 브라만교 성직자들은 제물로 많은 소를 요구했고, 결국 인구의 대다수를 차지하던 농민들의 반발은 아예 살생을 금하는 종교를 요구하는 단계로 발전했다는 것이다.
소의 중요성은 우리나라에서도 다르지 않았다. 세종 7년(1425) 형조(刑曹)는 “소의 도살을 금지하는 금살도감(禁殺都監)을 설치했음에도 근절되지 않고 있다”면서 “소고기를 먹는 자는 수색 체포해 엄중히 다뤄야 한다”고 했다. “먹는 것은 백성의 근본이고, 곡식은 소의 힘으로 나오는데, 나온 곳을 묻지 않고 소고기를 먹는 악습이 번져 소와 말을 훔쳐 내 밀도살하는 일조차 적지 않기 때문”이라는 것이었다. 소고기를 먹는 자에게 태형(笞刑) 50대에 처하는 금률(禁律)에도 사람들이 모두 가볍게 여긴다는 대목도 보인다.
그러니 전염병이 창궐해 소가 한꺼번에 죽어 나가는 상황은 견디기 어려운 일이었다. 중종 36년(1541) 조정에서는 “평안도 소들이 대부분 병들어 죽었고 황해도 역시 마찬가지인데, 평안도 농사일은 다른 도와 달라 새로운 소를 보내 주더라도 2~3년 안에 밭갈이에 익숙하기 어렵다고 한다”는 한탄이 오간다. 인조 15년(1637)에는 부제학 이경석 등이 “소 역병의 재앙은 팔도가 모두 같아서 가을갈이는 못 하였으니, 봄 농사를 알 만하다.  이런 때 갖가지 변괴가 나타나고 거짓말과 요사스러운 말이 일어나 못하는 소리가 없으므로, 백성은 짐을 꾸려 떠나려고 한다”고 아룄다. 우역(牛疫)이 실농(失農)으로 이어지고, 실농이 다시 사회불안으로 확대되는 연쇄 반응을 보여 준다.
 중종 시대 우역은 치료법을 담은 수의서(獸醫書)의 편찬으로 이어졌다. ‘우마양저 염역병 치료방’(牛馬羊猪 染疫病 治療方)이 그것이다. ‘소·말·양·돼지 전염병 치료법’쯤으로 해석할 수 있다. 오늘날처럼 전염(傳染)이라는 표현을 썼고, 염역(染疫)은 ‘하나가 앓고 두셋이 아파 서로 전염하는 병’이라 정의했다. 당연히 증상으로 구분했을 뿐 원인 병원체를 기준으로 전염병을 분류하지는 못했다.
조선시대나 지금이나 가축 전염병을 퇴치할 임무는 국가에 지워져 있다. 왕조시대 천지자연의 모든 변고(變故)는 ‘임금이 부덕한 소치’였다. 나아가 다산 정약용은 “소 전염병은 모두 목민관의 책임이니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고 했다. 특히 다산은 우역(牛疫)의 참혹한 실상을 잘 알고 있었음에도 “두려울 것이 없다”고 했다. ‘성심(誠心)을 다하면 하늘도 도울 것’이라는, 오늘에 던지는 메시지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2017-02-15 31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북특별자치도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가능할까?
전북도가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도전을 공식화했습니다. 전북도는 오래전부터 유치를 준비해 왔다며 자신감을 보였지만 지난해 ‘세계잼버리’ 부실운영으로 여론의 뭇매를 맞은 상황이라 유치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도 있습니다. 전북도의 올림픽 유치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가능하다
불가능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