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민속박물관의 색깔 전시회/서동철 논설위원

[씨줄날줄] 민속박물관의 색깔 전시회/서동철 논설위원

서동철 기자
서동철 기자
입력 2016-12-18 23:06
수정 2016-12-19 00:3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오늘날 분홍과 파랑은 각각 여성과 남성을 상징하는 색깔로 자리잡았다. 그런데 1918년 ‘레이디스 홈 저널’에는 다음과 같은 글이 실렸다고 한다. ‘핑크는 더 과감하고 강한 색이어서 소년에게 잘 어울리고, 파랑은 섬세하고 얌전한 색이어서 예쁜 소녀에게 잘 어울린다.’ 1883년 창간된 미국의 여성 월간지다. 두 색깔에 대한 고정관념이 그리 오래전에 형성된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짐작케 한다. 실제로 유럽에서 분홍은 ‘미래의 지배자’를 상징하는 ‘왕자의 색’이었다는 것이다.

이미지 확대
지금 국립민속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는 ‘때(時)깔(色), 우리 삶에 스민 색깔’ 특별전이 열리고 있다. 이 전시회를 찾으면 분홍과 파랑에 얽힌 심리가 서양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분홍색 조선시대 관복에서는 뜻밖에 ‘레이디스 홈 저널’ 설명대로 과감하고 강한 데다 범접할 수 없는 권위마저 풍긴다. 조선은 영조 20년(1746) ‘속대전’(續大典)을 편찬해 법제를 정비하면서 당상관의 관복색을 분홍으로 단일화했다.

특별전은 색에 대한 과거의 시대정신은 물론 오늘날의 관점도 다양하게 담아냈다. 윤정미 작가의 ‘핑크&블루 프로젝트Ⅱ’를 내세워 관습으로 규정된 남녀의 색깔에 비판적으로 접근한 것도 그렇다. 작가는 온통 분홍색과 파랑색 환경에 둘러싸인 여자아이와 남자아이를 그렸다. 무의식적으로 강요하는 ‘색깔 코드’가 얼마나 강력한 ‘색채의 폭력’이자 ‘심리적 폭력’일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기획자는 오방색(五方色)을 특별히 강조하지 않았지만 무시할 수도 없었을 것이다. 오방색은 노랑을 중심으로 파랑은 동쪽, 하양은 서쪽, 빨강은 남쪽, 검정은 북쪽을 상징한다. 한국 전통의 색채 철학이라고도 하지만 근원을 따라가면 중국이 나타날 수밖에 없다. 오방색의 방위에 얽매이지 않고 전시장 초입에 하양과 검정을 배치한 것은 성공적이었다. 흑백 두 색깔만으로 우리 문화의 특성을 드러낼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 정도였다.

오방색의 개념에는 오간색(五間色)도 있다. 청과 황, 청과 백, 적과 백, 흑과 적, 흑과 황 사이에 각각 녹·벽·홍·자·유황(·碧·紅·紫·硫黃)이 있다. 전시회를 둘러보면 우리는 오방색의 나라라기보다, 오간색의 나라가 아닌가 싶다. 효명세자 책봉 교명(敎命)의 세련미 넘치는 배색은 놀랍다. 오방색을 우리 감각의 간색(間色)으로 치환해 감탄스럽다.

전시장 중앙 ‘노랑색 방’에는 고종황제 어진(御眞)을 비롯한 대한제국시대 유물들이 놓였다. 하지만 중국 중심 세계관에서 벗어나겠다면서도, 제도는 무비판적으로 따른 곤룡포의 황색은 세련되지도, 위엄이 서려 있지도 않다. 반면 조선 후기 관복인 초의에서는 한마디로 ‘핏줄이 당기는’ 느낌이 든다. 대추와 팥죽을 버무려 놓은 듯 자연스럽게 검붉은 초의를 보면 ‘그래, 이게 진짜 우리 색이지’ 싶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2016-12-19 31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북특별자치도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가능할까?
전북도가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도전을 공식화했습니다. 전북도는 오래전부터 유치를 준비해 왔다며 자신감을 보였지만 지난해 ‘세계잼버리’ 부실운영으로 여론의 뭇매를 맞은 상황이라 유치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도 있습니다. 전북도의 올림픽 유치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가능하다
불가능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