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랑이 담배 먹던 시절 이야기 같지만, 대표적인 전통공예품인 나전칠기가 1970년대에는 특별소비세 중과 대상이었다. 장롱 같은 나전칠기 제품이 다이아몬드, 밍크코트, 롤렉스 시계와 함께 사회적으로 해악을 끼치는 사치품으로 분류된 것이다. 나전칠기는 재료 자체가 귀한 데다 여러 단계 기술이 필요하고, 따라서 제작 시간이 오래 걸리니 판매 가격이 높아지는 것은 상식적으로도 불가피했다.
공예인들이 겪은 어려움은 당연히 여러 가지였는데, 특히 완성된 제품을 용달차에 싣고 가구점이나 구매자의 집으로 가는 길이 문제였다. 단속반이 따라와서는 특별소비세로 시비를 걸기 일쑤여서 돈 봉투를 여러 개 준비하는 웃지 못할 상황도 벌어졌다고 한다. 세무서를 상대하는 일이어서 영세한 공방이 더욱 피해를 볼 수밖에 없는 구조였다는 것이다.
당시 칠기 반제품을 만들던 한 젊은 공예인이 주축이 되어 나전칠기협회를 조직했는데, 종사자들의 호응이 커지면서 1980년 무렵 나전칠기가 사치품이라는 오명도 씻을 수 있었다. 그 젊은 공예인이 오늘날 ‘전통공예의 대부’와 더불어 ‘공예인 민원실장’으로 불리는 이칠용 한국공예예술가협회장이다. 공예 분야 제도 개선을 위해서라면 누구보다 큰 목소리를 내는 까닭에 공직자 사이에선 ‘움직이는 폭발물’로 ‘경계의 대상’이다.
소설을 쓰고 서점을 운영했으며 ‘월간 공예문화’ 같은 잡지도 냈던 이 회장은 70대에 접어든 지금도 블로그에 일기를 쓰듯 매일이다시피 글을 올린다. 전통 공예 분야 각종 정보와 제도 개선 과제, 전통문화 발전을 위한 제언이 대부분이다. 그동안 블로그에 모인 글을 정리해 최근 ‘이칠용의 공예일기’라는 책을 펴냈다.
이를테면 이런 내용이다. 일본의 ‘후지야마 대백과사전’은 ‘한국 나전칠기 장인 전성규는 송주안, 김봉룡과 일본에서 기술을 가르쳤다. 조선의 일류 기술자들을 모셔 왔기에 오늘날 다카오카 나전칠기에서는 한국 나전칠기의 영향이 분명히 드러나고 있다’고 적었다. 그런데 우리 국가기관이 펴낸 ‘한국 근현대 나전도안’은 정반대로 ‘송주안은 일본 다카오카에 연구생으로 가서 8년 동안 기술을 익히고 귀국했다’고 소개한다. 이런 문제점을 논하며 ‘죄과’를 기록했다는 것이다.
이 회장은 자신의 사무실을 ‘한국 공예 문화의 보호 육성과 발전을 위한 아지트이며 투쟁사령부’라고 부른다. 과거와는 달리 전국에 뜻을 같이하는 ‘방어벽이 철통같은 요새’가 수백 군데에 이르는 만큼 이제는 쉽게 무너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장담한다. 그럼에도 2011년 폐암으로 세상을 떠난 건칠명인 정창호 선생을 생각하면 가슴이 무너진다고 했다. 만년에는 농촌 비닐하우스에 살며 호구지책으로 동동주를 빚어 인근 식당에 내다 팔았다는 것이다. 그러니 앞으로도 자신이 해야 할 일은 너무나도 많다고 강조한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당시 칠기 반제품을 만들던 한 젊은 공예인이 주축이 되어 나전칠기협회를 조직했는데, 종사자들의 호응이 커지면서 1980년 무렵 나전칠기가 사치품이라는 오명도 씻을 수 있었다. 그 젊은 공예인이 오늘날 ‘전통공예의 대부’와 더불어 ‘공예인 민원실장’으로 불리는 이칠용 한국공예예술가협회장이다. 공예 분야 제도 개선을 위해서라면 누구보다 큰 목소리를 내는 까닭에 공직자 사이에선 ‘움직이는 폭발물’로 ‘경계의 대상’이다.
소설을 쓰고 서점을 운영했으며 ‘월간 공예문화’ 같은 잡지도 냈던 이 회장은 70대에 접어든 지금도 블로그에 일기를 쓰듯 매일이다시피 글을 올린다. 전통 공예 분야 각종 정보와 제도 개선 과제, 전통문화 발전을 위한 제언이 대부분이다. 그동안 블로그에 모인 글을 정리해 최근 ‘이칠용의 공예일기’라는 책을 펴냈다.
이를테면 이런 내용이다. 일본의 ‘후지야마 대백과사전’은 ‘한국 나전칠기 장인 전성규는 송주안, 김봉룡과 일본에서 기술을 가르쳤다. 조선의 일류 기술자들을 모셔 왔기에 오늘날 다카오카 나전칠기에서는 한국 나전칠기의 영향이 분명히 드러나고 있다’고 적었다. 그런데 우리 국가기관이 펴낸 ‘한국 근현대 나전도안’은 정반대로 ‘송주안은 일본 다카오카에 연구생으로 가서 8년 동안 기술을 익히고 귀국했다’고 소개한다. 이런 문제점을 논하며 ‘죄과’를 기록했다는 것이다.
이 회장은 자신의 사무실을 ‘한국 공예 문화의 보호 육성과 발전을 위한 아지트이며 투쟁사령부’라고 부른다. 과거와는 달리 전국에 뜻을 같이하는 ‘방어벽이 철통같은 요새’가 수백 군데에 이르는 만큼 이제는 쉽게 무너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장담한다. 그럼에도 2011년 폐암으로 세상을 떠난 건칠명인 정창호 선생을 생각하면 가슴이 무너진다고 했다. 만년에는 농촌 비닐하우스에 살며 호구지책으로 동동주를 빚어 인근 식당에 내다 팔았다는 것이다. 그러니 앞으로도 자신이 해야 할 일은 너무나도 많다고 강조한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2016-10-24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