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 양궁은 1984년 로스앤젤레스 대회까지 남녀 개인전에 금·은·동 메달이 하나씩 걸렸을 뿐인 ‘미니 종목’이었다. 그러다 1988년 서울대회에서 남녀 단체전이 추가되면서 금·은·동 메달이 4개씩으로 늘어났다. 한국은 당시 이미 세계선수권대회를 휩쓸면서 양궁 강국으로 위상을 확고히 하고 있었던 만큼 ‘개최국 프리미엄’도 아주 없지 않았을 것이다.
한국 양궁은 서울올림픽에서 기대대로 3개의 금메달과 2개의 은메달, 1개의 동메달을 쏘았다. 특히 여자부에서는 단체전 금메달에 이어 개인전에서 김수녕·왕희경·윤영숙이 각각 금·은·동메달을 따냈으니 신궁(神弓)이라는 세계 언론의 찬사가 결코 과장이 아니었다. 그럼에도 4개의 금메달을 석권한 것은 리우올림픽이 처음이다. 우리가 서울에서 뿌린 ‘양궁 4종목 금메달’의 씨앗을 열매로 만들어 수확하기까지는 28년이 걸린 셈이다.
한국 양궁이 강한 이유로 실력지상주의를 드는 사람이 많다. 이름 없는 신예가 ‘올림픽 챔피언’을 제치고 대표선수가 되어 다시 금을 수확하는 것이 우리 양궁의 아름다운 전통이다. 2관왕 2연패가 없는 것도 이 때문일 것이다. 국가 발전의 가장 큰 걸림돌이라는 지연과 학연 같은 연줄이 끼어들 여지를 원천 봉쇄한 공정한 ‘선발 룰’이 자리잡은 결과라고 한다.
대한양궁협회 인터넷 홈페이지를 보면 ‘대회 결과’가 눈에 잘 띄는 곳에 자리잡고 있다. ‘국제대회, 국내대회, 대표선발, 신기록’으로 항목을 나누어 놓았는데, ‘국제대회’에는 당연히 리우에서 거둔 성적이 자랑스럽게 올라 있다. ‘대표선발’에는 선발전이 끝날 때마다 성적을 그대로 올려놓는다고 한다. 누가 어떤 과정을 거쳐 대표선수로 선발됐는지 알 수 있다.
리우에서 각각 2관왕에 오른 구본찬·장혜진의 대표선발 과정 성적은 흥미롭다. 지난 4월 대전 유성에서 열린 마지막 평가전에서 나란히 1등을 차지해 각각 2등과 3등으로 대표선수가 됐다. 랭킹은 1등이 아니었지만, 기록의 추이로 보면 두 사람의 금메달은 결코 이변이 아니다.
양궁은 대표 선발전을 10차례 갖는다. 2~3차례 갖는 다른 종목과 다르다. 특정 선수를 10차례나 봐주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뛰어난 성적을 거둔 ‘스타’에 대한 예외 규정도 두지 않았다. 특혜와 부정이 개입할 여지가 사라지면서 실력지상주의가 꽃을 피울 수 있었다는 것이다. 이제는 우리 사회가 양궁인들에게서 배워야 할 가치가 아닌가 싶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2016-08-15 27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