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른 눈의 수행자’로 널리 알려진 현각 스님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한국 불교를 비판하며 한국을 떠나겠다고 선언했다는 소식이다. 그가 벗어나고 싶은 주체는 사실 한국 불교라기보다 한국불교조계종이라는 특정 종단이라고 해야 정확할 것이다. 조계종 소속으로 25년째 수행하고 있는 그가 이렇게 결심한 이유로는 기복신앙화를 들었다고 한다.
현각은 1999년 ‘만행(卍行)-하버드에서 화계사까지’를 펴내면서 일약 스타로 떠올랐다. 그는 미국 뉴저지가 고향으로 예일대에서 서양철학을 전공하고 하버드대 대학원에서 비교종교학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게다가 ‘만행…’에서 밝혔듯 그는 가톨릭 집안에서 태어난 가톨릭 신자였다. 이런 그의 문화적·종교적 배경은 이목을 집중시키기에 충분했다.
사실 기독교 문화에 갇혀 있던 사람이라면 ‘삶과 죽음의 문제’ 이상의 것을 이야기하는 선불교에 매력을 느끼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현각이 머리를 깎은 것은 숭산 스님의 설법을 들은 것이 결정적인 계기가 됐다고 한다. 숭산은 선불교의 요체를 매우 쉬운 영어로 전해 서양 사람들의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데 성공했다.
현각은 ‘한국 불교’라기보다는 ‘한국의 선불교’에 귀의했다고 봐야 한다. 하지만 현각이 선불교를 수행 수단으로 삼으면 됐지 굳이 승려가 될 필요가 있었을까 하는 의문은 책을 읽을 당시에도 들었다. 어쨌든 한국 불교는 지원군을 얻었다.
하지만 한국 불교는 다양한 성격의 신앙 혹은 수도 방법의 집합체여서 ‘한국 불교는 이것’이라고 한마디로 정의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사실 적지 않은 한국 사람들에게 현각이 깊이 공감한 선불교는 오히려 미지의 세계가 아닐까 싶다. 현각에게는 선불교가 한국 불교의 본질로 보였겠지만, 한국의 보통 사람들에게는 아들딸 공부 잘하고 좋은 데 취직시켜 달라는 할머니의 간절한 기도가 더욱 불교적으로 느껴지는 것도 부인할 수 없다.
조계종이란 선불교의 실질적인 창시자인 육조 혜능(638~713)이 수도한 중국 조계산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누구나 스스로 마음을 닦으면 성불(成佛)할 수 있다’는 선종의 가르침은 중국은 물론 우리 역사에도 깊은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한국불교조계종이 선만 오로지 추구하는 종단이 아니라는 사실 또한 분명하다.
성철 스님은 극락 정토 신앙은 경전이나 선 수행으로 불교의 본질에 접근하기 어려운 이들을 위한 방편가설(方便假說)이라고 했다. 그러니 기도로 발복(發福)한다는 것은 더 큰 가설이다. 그럼에도 한국 불교의 다양성을 구성하는 요소인 것은 명확하다. 다만 다양성이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현각이 탄식한 대로 ‘돈만 밝히는 중’만 넘쳐나는 것이 문제다. 오염된 한국 불교를 현각이 구해 내야 할 이유는 당연히 없다. 그는 한국 불교를 택했던 것과 같은 이유로 떠나기로 했을 뿐이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사실 기독교 문화에 갇혀 있던 사람이라면 ‘삶과 죽음의 문제’ 이상의 것을 이야기하는 선불교에 매력을 느끼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현각이 머리를 깎은 것은 숭산 스님의 설법을 들은 것이 결정적인 계기가 됐다고 한다. 숭산은 선불교의 요체를 매우 쉬운 영어로 전해 서양 사람들의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데 성공했다.
현각은 ‘한국 불교’라기보다는 ‘한국의 선불교’에 귀의했다고 봐야 한다. 하지만 현각이 선불교를 수행 수단으로 삼으면 됐지 굳이 승려가 될 필요가 있었을까 하는 의문은 책을 읽을 당시에도 들었다. 어쨌든 한국 불교는 지원군을 얻었다.
하지만 한국 불교는 다양한 성격의 신앙 혹은 수도 방법의 집합체여서 ‘한국 불교는 이것’이라고 한마디로 정의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사실 적지 않은 한국 사람들에게 현각이 깊이 공감한 선불교는 오히려 미지의 세계가 아닐까 싶다. 현각에게는 선불교가 한국 불교의 본질로 보였겠지만, 한국의 보통 사람들에게는 아들딸 공부 잘하고 좋은 데 취직시켜 달라는 할머니의 간절한 기도가 더욱 불교적으로 느껴지는 것도 부인할 수 없다.
조계종이란 선불교의 실질적인 창시자인 육조 혜능(638~713)이 수도한 중국 조계산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누구나 스스로 마음을 닦으면 성불(成佛)할 수 있다’는 선종의 가르침은 중국은 물론 우리 역사에도 깊은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한국불교조계종이 선만 오로지 추구하는 종단이 아니라는 사실 또한 분명하다.
성철 스님은 극락 정토 신앙은 경전이나 선 수행으로 불교의 본질에 접근하기 어려운 이들을 위한 방편가설(方便假說)이라고 했다. 그러니 기도로 발복(發福)한다는 것은 더 큰 가설이다. 그럼에도 한국 불교의 다양성을 구성하는 요소인 것은 명확하다. 다만 다양성이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현각이 탄식한 대로 ‘돈만 밝히는 중’만 넘쳐나는 것이 문제다. 오염된 한국 불교를 현각이 구해 내야 할 이유는 당연히 없다. 그는 한국 불교를 택했던 것과 같은 이유로 떠나기로 했을 뿐이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2016-08-01 27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