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90년 대만을 찾은 포르투갈인들은 이 섬을 ‘일라 포모사’라고 불렀다. ‘아름다운 섬’이라는 뜻으로 한자로는 메이리다오가 되는 셈이다. 이 노래는 1970년대 중국에 의해 유엔에서 쫓겨나고 미국·일본 등과 외교관계가 끊기면서 대만의 정체성을 돌아보는 사회 분위기 속에서 탄생했다고 한다. 국민당 정부의 본토 수복 구호가 공허하게 들리면서 다수 대만인들의 심금을 울렸다. 마오쩌둥과의 국공 내전에서 진 장제스와 함께 대만으로 들어온 외성인(外省人)들은 논외로 치더라도. 2300여만명의 대만 인구 중 고산족 등 2% 원주민을 제외한 98%가 한족이지만, 이 중 85%는 명·청 교체기에 넘어온 객가족을 포함해 국민당 정권 출범 전에 건너온 본성인들이다. 차이 총통의 아버지도 객가족 후손이고 할머니는 원주민 파이완족 출신이다.
그런 그녀가 취임식장에서 메이리다오를 부른 것 자체가 강렬한 메시지다. 대만 독립을 표방해온 민진당의 정체성을 함축적으로 보여줬다는 점에서다. “우리의 요람 메이리다오는 어머니의 따듯한 품 안…”이라는 가사부터 ‘우리의 소원은 통일’이라는 우리 동요와는 사뭇 다른 뉘앙스가 아닌가. 차이 총통은 취임사에서 중국 정부가 압박해온 ‘하나의 중국’ 원칙을 언급조차 하지 않았다. “양안의 대화와 소통 기제를 유지하겠다”면서 충돌은 피하려는 제스처를 취하긴 했지만….
지난 세기말 분단국 베트남·독일·예멘 등이 잇따라 통일됐다. 21세기 초반인 지금 우리나라 이외에도 몇몇 분단국이 남아 있다. 셰익스피어의 비극 오셀로의 무대였던 키프로스가 그중 하나다. 하지만 1974년 터키군이 진주하면서 분단된 키프로스는 주민 80%는 그리스계이지만, 나머지 20%가 터키계인 탓에 남북이 협상을 벌이고 있지만 통합 열망은 그다지 높지 않단다. 영국의 4개 자치국 중 하나인 북아일랜드와 아일랜드의 통합도 그런 면에서 유사하다. 양쪽이 켈트족 인구가 다수란 공통점이 있지만, 종교는 신교와 가톨릭으로 분열돼 있다.
차이 총통의 취임식장에서 ‘포모사의 봄’이란 만찬 메뉴까지 등장했단다. 중국 정부는 차이 총통의 취임사에 대해 “하나의 중국 원칙이 확인되어야만 양안의 제도화된 교류가 이어질 수 있다”고 불만을 표시했다. 그러나 대만이 청의 강희제에 의해 복속된 때는 1683년으로 불과 300여년 전이다. 같은 핏줄과 언어, 그리고 수천년의 역사를 공유해온 남북한이야말로 진정한 의미에서 지구촌의 마지막 분단국이라는 현실이 가슴을 아리게 한다.
구본영 논설고문 kby7@seoul.co.kr
2016-05-23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