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대학혁명’이란 말이 나오고 있다. 현재 대학이 꾀하는 큰 변화이자 혁신을 일컫는 표현이다. 대학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체제를 바꿔 왔다. 교육 중심 대학에서 연구 중심 대학으로의 전환이 제1차 대학혁명이다. 주요 시설이 강의실에서 연구시설로, 교수의 역할도 지식을 보존·전달하는 교육자에서 연구자로 변했다. 다시 기업가형 대학으로의 변모는 제2차 대학혁명으로 규정되고 있다. 연구 성과와 시장 요구의 연계다. 대학과 기업이 따로가 아니라 함께 가는 것이다.
국제산학협력협회 헨리 에츠코위츠 회장의 정의에 따르면 기업가형 대학(entrepreneurial univ.)은 대학 운영에서 기업가적 마인드를 기반으로 삼는 대학이다. 즉 연구 성과의 사업화를 통해 독립성을 확보함으로써 교수와 학생들의 기업가 활동을 장려하는 큰 배움터다. 전제는 연구 및 운영에서의 자율성 보장이다. 원광디지털대 남궁문 총장은 기업친화형 인재 양성과 산학협력, 지역사회와 기업의 조화 등에 초점을 둬 ‘한국형’ 기업가적 대학을 정의했다. 기업가적 대학이라고 해서 학문 연구라는 대학의 본질이 달라지는 것은 전혀 아니다.
산학협력의 본격화는 2003년 산학협력단이 설치되면서부터다. 2005년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연구에서 보듯 대학교육 만족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1점에 불과했다. 교수와 접촉할 기회, 실용적 수업 내용 등에서 만족도가 낮았다. 산학협력에 대한 인식도 부족했다. 10년이 지난 2012년 시작돼 올해 끝나는 산학협력선도대학(LINC) 사업은 대학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57개교가 참여했다. 무엇보다 교육·연구·봉사에 산학협력이 대학의 중심 요소로 자리매김했다. 현장 맞춤형 인재 양성과 기술이전 및 사업화, 창업교육 등에서 가시적 성과도 얻었다. 학생들의 만족도 역시 올랐다. 하지만 학생 창업이 247개에 그친 데다 개발한 기술의 실용성은 떨어졌다. 체질 개선도 여전히 미흡하다. 아쉬운 대목이다.
교육부를 비롯해 9개 부처 및 중기청이 지난달 12일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한 ‘산학협력 5개년(2016~2020) 기본계획’을 내놓았다. 2020년까지 청년 일자리를 5만개 이상 만드는 야심 찬 정책이다. ‘산학협력=이공계’라는 등식에서 탈피해 문화예술을 포함해 인문사회 영역까지 지평을 넓혔다. ‘포스트 LINC사업’ 격이다.
산학협력은 양이 아닌 질을 목표로 삼아야 한다. 취업 현장과의 불일치 해소에 적극적으로 나설 필요가 있다. 중소기업은 마땅한 인력조차 못 구하고 있다. 나아가 눈높이에 맞춘 직업교육과 교육과정의 재정리도 요구되고 있다. 교수의 역할이 특히 중요하다. 기업과의 관계, 학생 지도, 창업 등 모든 과정에서 절대적이라 할 수 있다. 산학협력의 성패와 직결되기 때문이다. 학문 연구와 산학협력이 이끄는 ‘대학혁명’이 주목받고 있다.
박홍기 논설위원 hkpark@seoul.co.kr
산학협력의 본격화는 2003년 산학협력단이 설치되면서부터다. 2005년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연구에서 보듯 대학교육 만족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1점에 불과했다. 교수와 접촉할 기회, 실용적 수업 내용 등에서 만족도가 낮았다. 산학협력에 대한 인식도 부족했다. 10년이 지난 2012년 시작돼 올해 끝나는 산학협력선도대학(LINC) 사업은 대학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57개교가 참여했다. 무엇보다 교육·연구·봉사에 산학협력이 대학의 중심 요소로 자리매김했다. 현장 맞춤형 인재 양성과 기술이전 및 사업화, 창업교육 등에서 가시적 성과도 얻었다. 학생들의 만족도 역시 올랐다. 하지만 학생 창업이 247개에 그친 데다 개발한 기술의 실용성은 떨어졌다. 체질 개선도 여전히 미흡하다. 아쉬운 대목이다.
교육부를 비롯해 9개 부처 및 중기청이 지난달 12일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한 ‘산학협력 5개년(2016~2020) 기본계획’을 내놓았다. 2020년까지 청년 일자리를 5만개 이상 만드는 야심 찬 정책이다. ‘산학협력=이공계’라는 등식에서 탈피해 문화예술을 포함해 인문사회 영역까지 지평을 넓혔다. ‘포스트 LINC사업’ 격이다.
산학협력은 양이 아닌 질을 목표로 삼아야 한다. 취업 현장과의 불일치 해소에 적극적으로 나설 필요가 있다. 중소기업은 마땅한 인력조차 못 구하고 있다. 나아가 눈높이에 맞춘 직업교육과 교육과정의 재정리도 요구되고 있다. 교수의 역할이 특히 중요하다. 기업과의 관계, 학생 지도, 창업 등 모든 과정에서 절대적이라 할 수 있다. 산학협력의 성패와 직결되기 때문이다. 학문 연구와 산학협력이 이끄는 ‘대학혁명’이 주목받고 있다.
박홍기 논설위원 hkpark@seoul.co.kr
2016-05-10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