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묵의 나선이론도 침묵의 카르텔과 유사하다. 독일의 커뮤니케이션 학자인 엘리자베스 노엘레 노이만(1916~2010)이 1966년 내놓은 이론이다. 나치 정권 당시 선전부 장관을 지낸 요제프 괴벨스와 일하면서 겪었던 사회적·정치적 경험을 토대로 삼았다. 다수 의견은 나선의 바깥쪽으로 돌면서 세가 커지는 반면 소수 의견은 나선 안쪽의 작은 나선으로 돌면서 쪼그라든다는 논리다. 자신의 의견이 다수 쪽이면 자신 있게 말하고, 소수 쪽이면 드러내지 않은 채 숨긴다는 얘기다. 침묵은 비난을 받거나 고립될 것에 대한 두려움의 결과다. 반론도 적지 않지만 가장 대중화된 여론형성 이론이다.
밴드왜건 효과 역시 다수 쪽으로 쏠리는 인간 심리를 나타내고 있다. 미국의 경제학자 하비 라이벤스타인(1922~1994)이 1955년 발표한 네트워크 효과의 하나다. 경제에서는 유행에 따라 상품을 사는 소비 현상을, 선거에서는 우세해 보이는 후보를 지지하는 현상을 일컫는다. 이른바 시류 편승 효과다.
흔히 결속력이 강한 집단일수록 외부의 관점을 차단하기 일쑤다. 비판이 권위적인 집단에서 눈엣가시로 여겨지는 것과 같다. 미국 사회심리학자 어빙 제니스(1918~1990)의 말을 빌리자면 집단사고에 희생되기 쉽다. 소속된 집단의 유형·무형의 압력 탓에 도덕적·합리적 판단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경향이 짙다는 주장이다. 제대로 따져 보지도 않고 ‘우리’라는 동류 의식의 울타리에 들어가 자신의 행위를 정당화하는 것이다. 마치 집단 광기 속에 들어가면 이성이 작동하기 어려운 것과 마찬가지다.
국가인권위원회가 2014년 4월 발생한 육군 윤모 일병 폭행 사망 사건과 관련, 상당수 대원이 윤 일병이 가혹행위를 당하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고 최근 밝혔다. 부대원 83명에 대한 면담에서 31%인 37명이 윤 일병의 피해를 직접 봤거나 전해 들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신고는 이뤄지지 않았고 윤 일병은 사망했다. 신고했을 때의 불이익이나 따돌림을 두려워했던 것이다. 군대라는 특수 집단 문화에서 형성된 침묵의 카르텔이다.
인권위는 모든 장병에게 권리 구제를 신청하는 방법을 교육하라고 국방부 장관에게 권고했다. 국방부는 지금껏 병영문화를 혁신하기 위해 적잖은 노력을 기울였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잘못을 묵인하지 않는, 침묵의 카르텔을 깰 수 있는 문화 조성이다. ‘깨진 유리창 법칙’에서 알 수 있듯 범죄는 교육이 아닌 범죄를 유인할 만한 환경적 싹을 자름으로써 줄일 수 있다. 되새겨볼 만하다.
박홍기 논설위원 hkpark@seoul.co.kr
2016-01-28 31면